KBS 1TV가 공사창립 28주년을 맞아 특집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TV, 책을 말하다'(3·4일 오후 8시)는 방송사가 벌이는 독서 캠페인성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흔히 TV가 책 읽는 시간을 빼앗는다고 알려진 상황에서 이같은 방송사의 독서캠페인은 이례적인 일. 선진국들은 책읽기가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행위를 넘어 개인과 사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원천이 된다는 확신아래, 자국민들의 독서권장을 위해 전방위적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1·2부로 나눠 총체적인 책읽기 운동에 나서고 있는 선진국과 우리의 현실을 비교해 가며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본다.제1편 '그들은 책을 읽었다'에서는 선진국의 저력이 독서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역설하는 한편 국내 독서문화 현주소를 진단한다.영국에서 범국민운동으로 펼쳐지고 있는 '북 스타트 프로젝트'를 비롯해 북 클럽 문화가 낳은 미국 토크쇼 진행자 오프라 윈프리의 성공신화, 할리우드 유명 배우와 감독들의 독서습관,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지몬을 탄생시킨 일본 반다이사의 독서광 직원들 등을 소개한다.
이어 독서 캠페인으로 직장 분위기를 변모시킨 금호그룹의 사례와 우리나라에서 출판되지 않은 책이 많아 미국의 인터넷서점 아마존에서 주로 책을 구입한다는 컴퓨터전문가 안철수 박사의 독서열을 공개하는 동시에 선진국의 도서관과 국내 도서관의 장서량과 이용실태를 비교해본다.제2편 '책읽기의 유혹'은 각국의 독서문화 증진 노력으로 꾸며진다. 영국은 셰익스피어 탄생일에 맞춰 어린이에게 책을 대폭 할인해주는 '북 토큰'(Book Token)행사를 펼치는가 하면 핀란드는 벽지 어린이들을 위해 이동도서관 '북 모빌'(Book Mobile)을 운영한다.또 일본에서는 '아침 10분 독서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고 독일의 학교는 '독서의 적'으로 꼽히는 TV와 인터넷을 독서수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프랑스 제2TV도 프라임 타임에 매주 두 시간씩 독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