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부모' '우리 어머니' '이야기' 같이 받침 없는 단어 조차 제대로 받아쓰지 못하는 중학교 신입생이 대구에만 100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교 저학년 때의 기초학습 결손이 졸업 때까지 전혀 보완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난 것.
또 고교 신입생 중에선 최대공약수, 분수.소수 계산 등 초교 과정 수학 문제 조차 풀지 못하는 학생이 전체의 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구시 교육청이 지난달 고교 및 중학교 입학 예정자 각 3만4천368명과 3만4천1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력 진단평가에서 밝혀진 것이다.
이에 따르면 중학교 신입생 중 받침 있는 우리말 받아쓰기에서 틀린 학생이 0.9%이고, 두자리 수 덧셈을 틀린 학생도 2.2%나 됐다. 또 10% 이상이 분수의 덧셈.뺄셈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신입생 중에선 19%가 유리수.방정식 등 중1 과정의 문제를 풀지 못했으며, 중2 수학 문제 오답률은 30%를 넘었다.
올해 처음 측정된 영어 능력의 경우, 중학교 신입생들은 쓰기(오답률 4.6%) 보다 듣기(〃2.2%) 기초 공부가 비교적 잘 됐다. 그러나 고교 신입생들은 독해력 영역은 좋았으나(오답률 8.8%) 생활영어는 취약한 것(〃15.7%)으로 나타났다. 중2 수준의 전화 대화 문제를 풀지 못한 학생도 15%나 됐다.
대구시 교육청 관계자는 "특히 고교 신입생은 1999학년도부터 내신성적만으로 선발이 이뤄지면서 학력 결손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