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인, 거목, 맏형, 판도라상자, 쉬지않는 부유한 노동자, 완벽주의자, 대들보, 풍운아, 최우등생, 슈퍼스타….
지난 21일 별세한 정주영 전 현대 명예회장은 우리 사회에 남긴 크나큰 족적 만큼이나 다양한 인물평을 낳았다.
97년 아산재단 20주년을 기념해 발간된 '백인 문집-아산 정주영과 나'에는 재계, 학계, 문화계 등 각계 인사들의 '정주영 경험담'이 담겨 있다.
다음은 주요내용 요약.
◇불사신의 철인(강영훈 전 총리)= 피나는 가시밭길을 헤치며 단장의 고통을 견뎌내면서 불사조와 같이 자신의 새로운 천지를 개척해왔다. 아무리 험난한 길이라도 아산에게는 투지를 단련하는 도장이었고 천만금으로도 바꿀 수 없는 경험의 기회였다.
◇스스로 땅을 찾아 말뚝을 박은 사람(구자경 LG명예회장)= 아산은 정경유착이나 특혜란 말을 가장 싫어했다. 그는 스스로 땅을 찾아 말뚝을 박고 길을 닦아 공장을 지어 굴뚝을 올려 기업을 해나가는 것을 좋아했다.
◇세기의 인물(권이혁 전 서울대 총장)= 거대한 부에 걸맞지 않는 검소한 옷차림이나 살림살이가 인상적이었다. 장학증서 수여식에서 수여자인 아산선생이 학생에게 먼저 인사하던 광경이 아직도 생생하다.
◇아산 정주영을 말한다(남덕우 전 총리)= 그가 가지고 다니는 것은 옛날에나 볼 수 있는 비닐가방이었다. 골프 칠 때 입은 바지의 뒷부분을 재봉틀로 박은 것을 보고 놀랐다. 골프 칠 때 오른손 장갑을 왼손에 끼고 있어 물어보니 왼손장갑이 없어져서 그랬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도 놀랐다.
◇중후장대형의 역사를 창조한 호걸(박태준 전 총리)= 외모상으로 이병철 회장님이 경박단소형이라면 정주영 회장님은 중후장대형이었고 성품은 각각 구절판형과 된장찌개형이라고나 할까. 정 회장님은 골프 스타일도 중후장대형으로 제대로 맞을 때는 엄청난 장타가 나왔고, 술자리에서의 주법도 중화학공업형이었다. 술이 얼근해지면 항상 제일 먼저 마이크를 잡고 음정이나 박자보다는 신바람 창법을 구사했다.
◇자본주의 교실의 최우등생(송자 전 연세대 총장)= 정 이사장님을 자본주의 교실의 최우등생으로 부르고 싶다. 위험부담을 과감히 짊어지고 부를 축적하고, 검소하게 살며 저축할 수 있는 한 저축하고, 축적한 부를 나눠줄 줄도 알기 때문이다.◇결단력과 추진력의 화신(신격호 롯데 회장)= 일본 기술자들도 주저할 정도의 촉박한 롯데월드 공사를 약속한 기간내에 현대는 해냈다. 나는 그때 무서운 추진력과 돌파력을 봤다. 그의 행차는 언제나 단출했다. 롯데호텔에서 수행원도 없이 바삐걷는 정 회장을 여러번 봤다. 언제나 소탈하고 서민적인 정 회장의 풍모가 그립다.
◇한국의 슈퍼스타(안병욱 숭실대 명예교수)= 하늘은 그에게 4가지 큰 덕을 줬다. 타고난 건강과 총명, 패기, 덕기(德氣)다. 초인적인 에너지의 소유자로 격무에도 견딜 수 있었고 사업의 성공여부에 대해 천부적인 센스를 갖고 있는 듯 했다. 아산은 근근자자(勤勤孜孜) 열심히 일해 정직하게 번 돈을 사회를 위해, 겨레의 행복을 위해 아낌없이 베풀었다.
◇꿈이 있는 기업예술가(조경희 전 정무2장관)= 만년 청년 정주영씨는 예술가들을 좋아해 과거 시인 모윤숙씨 집에서 열리는 회동에 자주 참석한 기억이 난다. 당시 그는 모임이 끝난뒤 여류문인들의 파발마 역할을 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