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관할하에 있는 지방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올 1/4분기중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봉투값 등 지방공공요금은 작년말에 비해 3.4%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9%를 크게 웃돌았다.
중앙 공공요금은 담뱃값, 자동차보험료 등이 올랐지만 전체적으로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지난 91~2000년에도 중앙 공공요금이 연 평균 3.5% 인상된 데 비해 지방 공공요금은 10.1%나 인상됐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는 평균 5% 상승했다.
이밖에 의료보험수가는 같은 기간 평균 6.7% 올랐으며 올들어서 3월까지는 9.9%상승했다.
재경부는 이처럼 공공요금 중에서도 지방 공공요금의 급등이 물가불안의 주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올 상반기는 억제, 하반기는 최소화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