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홍수, 가뭄 등 각종 자연재해에 대한 대구시의 기금 적립액이 턱없이 적어 유사시 성금이나 예비비 등 보조재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행 재해방지법 및 구,군 조례는 최근 3년간 지방 보통세수입 결산 평균액의 0.8%를 법정액으로 정해 재해대책기금을 매년 적립하도록 돼 있지만 대구시의 기금 확보액은 법정액에도 크게 못미치고 있다.
경실련에 따르면 올해 대구시 재해대책 적립기금은 30억원으로 법정액 57억5천만원의 52%에 그쳐 서울, 부산, 인천의 100%, 대전의 70%에 비해 크게 낮다.
또 경실련이 지난 97년부터 2000년까지 전국 광역 시도의 재해대책기금 적립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구시는 97년 5억원(44억5천원.괄호안은 법정액), 98년 1억4천400만원(51억5천500만원), 99년 2억원(54억2천600만원), 지난해 26억원(56억3천500만원)으로 4년간 기금적립규모가 법정액의 평균 17%에 불과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김대훈 간사는 "자치단체들이 도로건설 등 '보이기식'예산에 치중하다보니 재해대책기금을 예산배정 우선순위에서 제외하고 있다"며 "따라서 재해때마다 성금을 모은다고 허둥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대구시 건설방재과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당장 예산을 집행해야 할 곳도 많은데 유사시에 쓰일 기금규모를 평소에 100%로 적립한다는 것은 '교과서식 자금운용'"이라며 "굳이 법정기금적립액을 채우지 않아도 예비비 등 보조재원을 이용하면 재해대책마련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