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학교에서 식중독 유사증세를 보건당국에 즉각 신고 않는 바람에 피해를 키우는 것은 물론 정확한 원인규명조차 어렵게 만들어 학교급식 불신을 키우고 있다.대구 북구보건소는 지난 12일 오후 대산초교 학생 180여명이 복통·설사·구토 등 식중독 유사증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학생들의 가검물을 수거하고 칼·도마·행주 등 급식도구와 음용수를 수거해 역학조사에 나섰다.
이 보건소 설문조사 결과, 전교생 912명 가운데 186명이 식증독 유사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10일 오후부터 환자가 발생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식중독 유사증세를 앓고 있는 학생들은 14일에도 12명이 등교하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측은 교육청에 보고만했을 뿐 보건당국에 신고를 하지 않았으며 뒤늦게 외부제보를 받은 보건당국은 발생 이틀이 지나서야 역학조사에 나섰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 한 관계자는 "식중독 유사증세를 호소하는 환자가 발생하는 즉시 신고를 해야만 제대로 된 역학조사가 가능해 똑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며 "신고가 늦을 경우, 학생들이 항생제를 복용함으로써 역학조사에 나설 때는 이미 균을 찾기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달 말 성광고 급식과정에서도 유사 식중독 증세를 호소하는 학생들이 발생, 역학조사에 나섰으나 식중독균을 찾지 못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