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화관광부 올해 사업 착수

1천여권에 달하는 방대한 한글 관련 고문서와 10만여점의 우리 문화유산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문화관광부는 훈민정음 반포 555돌인 올해부터 오는 2005년까지 5년동안 36억여원을 들여 한글 문화유산을 디지털화한 '사이버 한글박물관'을 구축, 한글 고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계획이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의 하나로 평가받는 한글 고문헌들을 디지털 콘텐츠화 한다는 것이 사업 취지.

'훈민정음 해례본' '용비어천가' 등 올해 1차 선별될 100대 자료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1천여권의 자료가 3차원 동영상으로 전시되고, 원본까지 해제와 외국어판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문헌 외에도 한글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1만400여점의 자료가 망라될 예정이다.

사이버 한글박물관은 한글 탄생에서부터 보급, 변천, 수난사를 보여주는 '역사관'과 한글 서예, 간판, 족보 등을 통해 한글의 조형미와 생활문화사적 측면을 조명하는 '전시관',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을 위해 원격 강의 시스템이 도입될 '교육관' 등으로 구성된다. 문화관광부는 올해 한글 박물관 기본계획 수립과 자료수집 등을 추진하며 내년 시범 자료를 우선으로 사이버 박물관을 시험 운용할 방침이다.

한편 전국 10만여점의 문화유산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국가문화유산 종합정보서비스'도 최근 개통됐다.

전국 26개 박물관에 소장된 문화재와 각종 유물을 한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는 이 사이버 박물관은 국보와 보물, 사적 등을 지정 문화재, 시대, 지역, 유형별로 유물을 검색할 수 있으며 각 유물마다 명칭, 출토지, 재질, 용도, 소장처 등 자세한 설명과 사진을 붙였다.

1년간의 작업 끝에 개통된 이 사업에는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국립대구박물관 등 9개 국립 지방박물관,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등 7개 공립박물관, 영남대박물관 등 8개 대학박물관이 참여했다. 문화관광부는 2005년까지 645억원을 투입해 이 사이트를 국내 250여개 각급 박물관과 전시관의 유물 정보에 대한 종합 네트워크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서종철기자 kyo425@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