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모습이 바뀐다

대구의 지도가 바뀌고 있다. 잇단 대규모 국제행사로 탄력이 붙은 도시 인프라 건설붐을 타고 도로, 공항, 각종 행사시설, 택지개발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면서 대구의 모습이 급속하게 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해 도시전문가들은 이같은 대변화가 대구의 발전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와 함께 특정지역 편중 개발, 행사성 개발 후유증, 도시기능의 불균형적 배분 등의 논란을 제기하며 외형적 변화를 뒷받침할 '도시발전 소프트웨어'의 배양을 주문하고 있다.

◇국제시설=오는 20일 개장하는 대구종합경기장은 수성구 내환동 일대를 '딴세상'으로 만들어 놓았다. 97년초까지 야산과 논밭, 과수원이 산재했던 15만5천여평이 국내 최대규모의 경기장 시설로 탈바꿈하면서 대구의 명물로 자리잡았다.

지난달 개관한 대구전시컨벤션센터와 인근 대구종합유통단지도 산격동 일대 25만4천여평의 색깔을 바꿔놨다. 일대 전체가 농지였던 이 지역은 첫삽을 뜬 지 7년여만에 10여개의 전문상가를 구축, '신발부터 기계까지' 이른바 '원스톱 쇼핑'이 가능한 대구경북 최대의 유통상업단지로 변신하고 있다.

◇관문 단장=세계로 이어줄 대구국제공항이 17일 문을 열면서 대구 관문의 얼굴이 달라졌다. 지하1층.지상2층의 '조그마한' 청사였던 대구공항청사는 국제공항으로 바뀌면서 연면적이 3배 늘어났고(3만여평.지하1층.지상 3층), 전시컨벤션센터와 10분거리에 위치하면서 무역기능이 높아졌다.

현재 7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대구역 민자역사(지하 3층.지상 9층)는 내년 가을 모습을 드러내면 쇼핑가를 갖춘 각종 편의시설을 갖춘 대규모 역사로 탈바꿈해 쇠락한 중구 교동.향촌동 일대의 개발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도로 개설=15일 대구종합경기장 주변 범안로, 경기장로, 월드컵로 등 3개 도로와 공산댐 우회도로의 개통으로 대구교통의 흐름이 빨라졌다.

특히 범안로(범물~고산)의 개통과 올 연말 개통예정인 황금동∼담티고개 도로는 대구 최악의 체증지역인 만촌네거리 주변 숨통을 틀 전망이다.

◇택지 개발=67만5천여평에 이르는 북구 칠곡3지구, 유니버시아드 선수촌이 들어설 동서변택지지구(27만여평), 달서구 용산동 옛50사단부지 등은 현재 개발이 한창 진행중인 대표적 대단위 택지지구. 이와 함께 지난 3월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받은 북구 매천.태전지구(12만1천여평)가 2004년쯤 본격 개발될 계획이며 동구 동호지구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돼 토지정지작업이 한창이다. 이에 따라 현재 5대 광역시의 평균 주택보급률(93.3%)을 밑돌고 있는 대구의 주택보급률(81%)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 진단=계명대 도시공학과 김한수(45)교수는 "도시계획은 적어도 10년정도의 준비기간을 거쳐야 하지만 최근 대구의 변화상은 각종 국제대회를 의식한 '행사지향형 개발'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며 "수성구 등 일부 지역에 개발력이 집중되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김교수는 또 "도로.경기장 등 각종 공공시설물을 경제적 부가가치로 연결시킬 수 있는 도시발전 소프트웨어를 갖추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