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자체 '물가상황실'운영

앞으로 요금을 올리는 목욕탕이나 이발소, 음식값을 올리는 음식점 등은 위생검사와 세무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인터넷에도 요금인상 업소로 게재된다.

정부는 최근 물가 급등세가 경제의 안정적 발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보고 물가안정을 위해 시도별로 '물가대책상황실'을 설치해 개인서비스 요금을 억제하는 등 물가 안정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행정자치부는 이날 "최근 물가가 급등 추세에 있어 서민생활에 큰 부담이 되고있고 경제 발전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각 자치단체에 서민생활안정 및 지역경제 안정 기반 강화 차원에서 모든 가용수단을 동원해 물가안정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행자부는 지난해 4월말 현재 물가는 2.0% 상승에 그쳤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2.5%로 0.5%포인트 더 높아졌음을 지적하면서 물가 모니터 요원들을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현장에 투입해 지방물가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겠다고 밝혔다정부는 특히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리하는 지방공공요금과 지하철, 상하수도요금, 쓰레기 봉투 요금 등의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협정요금인 목욕·이발 등 개인서비스 요금과 갈비탕 등 음식 가격도 업소들에 대한 위생검사와 세무조사 등 간접규제방식을 동원해 인상을 자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