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댐 물이 지난 11일 영천댐을 거쳐 대구로 공급되기 시작한 뒤 댐 및 도수로 때문에 피해를 입은 주변 지역민들이 피해 보상을 본격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의성 지역에서는 안개 일수 증가 등으로 농사 피해가 크다는 농민들의 주장이 잇따르자 군의회가 오는 7월 댐 피해 조사를 전문 기관에 의뢰키로 했다. 남동하 군의원 등은 "올해 점곡지역 사과 개화율이 60%를 밑도는 것은 댐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안동 시의원들은 "하루 26만t씩이나 물을 외지로 뺏기면서도 연간 300억원 가까운 농사 피해는 보상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데도 정부는 앞으로도 더 피해만 주려 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시의원들은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가 다음달 임시국회에 상정하려는「낙동강 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은 '댐 주변지역 주민들의 희생만 강요한 악법'"이라고 규정, 강력한 반대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천명했다.
청송지역 도수로 피해 문제도 통수 이후 다시 불거져, 이태식(60, 안덕면 감은리 이장)씨 등 현서·안덕면 주민 30여명은 22일 군청을 방문, "도수터널 주변에서 하루 7천여t의 지하수가 빠져 나가면서 지표수마저 고갈될 정도로 물부족이 심각해졌다"며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광역 수계(水系)에서의 댐 지역 피해 보상 및 물을 받아 쓰는 하류 주민들의 '수익자 부담' 문제는 세계적으로 난제가 돼 있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규범이 확정돼 있지 않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imaeil.com
청송·김경돈기자 kdon@imaeil.com
의성·이희대기자 hdle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