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 농산물(GMO)의 안전성이 논란된 뒤 국산 콩 선호도가 높아지자 정부가 수매가를 높이는 등 재배 확대를 지원하고 나섰다.
정부는 1990년대 초 50%를 넘나들던 식용 콩 자급률이 작년에는 25%까지 떨어지자 재배를 지원, 앞으로 3년 내에 다시 50%로 높이기로 했다. 지난해 8만6천ha이던 재배면적을 10만8천ha로 늘리고 생산량도 11만3천t에서 15만8천t으로 늘린다는 것.
이를 위해 정부는 재배단지 150개를 만들도록 돕고, 대단위 재배농가(200농가)를 육성하며, 비료를 무료 공급하거나 우량종자를 나눠주고 있다. 경북도청도 올 콩 재배면적을 지난해 1만4천ha보다 19% 불어 난 1만7천ha로 늘리기로 했다. 문경은 작년의 920ha에서 1천28ha로, 김천은 438ha에서 490ha로 늘릴 계획이다. 또 논두렁.빈터 등에 '우리 콩 한 필지 더 심기 운동'등도 펼쳐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그동안 정부 평균 수매가(40kg 기준)가 5만2천원(1991년)~8만7천원(2000년)에 불과해 시중가(12만~13만2천원)보다 낮았던 점에 착안해 올 수매가는 10% 인상했다. 1993년 4만t에서 작년 1만5천800t으로 줄였던 수매량도 올해는 다시 2만9천t으로 늘리기로 했다.
문경.윤상호기자 younsh@imaeil.com
김천.강석옥기자 sok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