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확대간부회의

민주당 초·재선 의원들의 항명파동이 '전기'를 맞고 있다. 27일 저녁 당 최고위원들이 별도 모임을 갖고 최고위원들의 역할론을 강조한데 이어 28일에는 확대간부회의가 열려 초·재선 의원들의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책이 논의됐다. 민주당은 당초 최고위원회의로 계획됐던 이날 회의를 확대간부회의로 변경하는 등 사태 수습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나 소장파 대표격인 정동영 최고위원이 이날 회의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등 수습이 쉽지 않고 혼선도 만만치 않음을 시사했다.

주말과 휴일을 거치면서 민주당 내부는 분주하게 움직였다. 최고위원들의 모임과 지도부의 소장파 설득전에 맞서 초·재선의원들은 별도의 소모임을 갖는 등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됐다. 소장파로부터 '쇄신'대상으로 지목됐던 동교동 구파와 당 지도부도 각개격파식의 사태진화에 나섰다. 한화갑 최고위원은 27일 소장파의 대표격인 정동영 최고위원을 직접 만나기도 했다.

이날 열린 확대간부회의는 회의 시작부터 긴장감이 흘렀다. 참석 최고위원 대부분은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 굳게 입을 다문채 말을 아끼는 분위기였다. 김원기 최고위원은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입장이 어느정도 정리됐지만 오늘 회의 결론이 어떤 식으로 날지 장담할 수 없다"며 심각한 표정이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소장파 의원들의 당정쇄신 주장에 대해 "할 말이 없다"면서 함구로 일관했다.

그러나 토의에 들어가면서 회의는 심각성을 더했다. 초·재선 의원들의 당정 수뇌부 쇄신 요구가 공론화되는 바람에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야 하는 기로에 몰렸기 때문이다.

동교동계 분위기는 더욱 착잡했다. 동교동계 대리인인 안동선 최고위원은 강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선의원들이 자신들을 '비공식 라인'으로 지목한데다 당정 수뇌부 쇄신 요구를 수용할 경우 자신들의 '이선후퇴'가 불가피한 때문이다.

때문에 최대 난제는 소장파 의원들의 요구를 어느정도 수용하느냐 여부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 일부에서 이 기회에 당정 수뇌부를 전면 쇄신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지만 일단은 소장파들을 설득해 당내 의견수렴 기회를 갖자는 의견이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31일 의원 위크숍 등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대처방안에 일부에서는 강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위원이 회의도중 자리를 뜬 것도 이같은 불만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은 전날 한 인터뷰에서 "초·재선 의원들과 대통령이 부딪쳐서는 안된다"며 "최고위원들이 이를 흡수하고 수습해야 한다"며 최고위원들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그러나 자신의 '배후설'에 대해서는 "그분들이(초재선 의원들) 누가 시킨다고 하고 하지 말라고 안하겠느냐"고 일축했다.

특히 당 지도부의 수습책이 '미봉'에 그치고 소장파들에 대한 각개격파로 가닥을 잡을 경우 당내의 누적된 반발은 다른 돌파구를 찾아 폭발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공은 청와대와 민주당 지도부에 넘어가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