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년간 한국체육계를 대표하며 세계 올림픽무대에서 거물인사로 군림해 온 김운용(70) 대한체육회장은 IOC 위원장 선거에서의 낙선으로 향후 국내외 스포츠계에서 입지가 상당히 좁아질 전망이다.
김 회장은 지난 71년 대한태권도협회장으로 체육계와 인연을 맺은 후 86년 1OC위원으로 선출돼 국제무대로 영역을 넓혔다. 93년에는 대한체육회장 겸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위원장에 올라 국내 스포츠계를 총괄해 왔다.
현재 김운용 회장이 이끌고 있는 주요 스포츠 관련 직책은 모두 6개.
대한체육회장을 비롯해 IOC 집행위원, 국제경기단체총연합회(GAISF) 회장, 2002년부산아시안게임조직위원장, 세계태권도연맹(WTF) 회장 등 굵직 굵직한 자리를 맡고 있다. 또한 민주당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계에서의 자신의 운명을 건다는 각오로 출마했던 이번 IOC 위원장선거에서의 패배는 철옹성처럼 단단했던 김 회장의 아성에 적지않은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먼저 김 회장은 이번 IOC 총회를 끝으로 집행위원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평의원으로 떨어져 IOC 핵심에서 밀려나게 됐다.
또 이번 선거를 통해 지난 21년동안 국제올림픽을 이끌었으며 앞으로도 일정한 지분의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되는 사마란치 전 위원장에게 반기를 든 만큼 그의 전폭적인 지원속에 IOC 위원장에 오른 로게와 추종자들로부터 집중적인 견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난 15년간 IOC에서 사마란치 위원장과 손발을 맞춰 활동하면서 부위원장, 집행위원, 라디오·TV 분과위원장, 92·96올림픽 조정위원 등 요직을 두루 거친 김 회장이 앞으로 이같은 중책을 맡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해졌다.
국내에서도 도전이 만만찮을 조짐이다. 국제적인 역량을 배경으로 지난 93년 체육회장에 오른 김 회장은 97년과 올 초 만장일치로 재신임됐으나 체육계 내부에는 그의 '장기집권'을 탐탁치않게 생각하는 반대세력도 적지않다.
체육계의 한 인사는 "김 회장이 앞으로 후배들의 앞길을 열어주는데 더욱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면서 "명예로운 은퇴도 진지하게 염두에 둬야할 시기"라고 말했다.또 다른 인사는 IOC위원과 대한체육회장, 국가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등 스포츠의 3대 포스트를 독차지하는 것은 후진국에서나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비난했다.
김교성기자 kg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