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계단식 육교 큰 불편 무단횡단 '사고위험'

대구시내 주요 도로 육교 47군데 가운데 한곳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장애인휠체어, 유모차, 자전거, 손수레, 노약자들이 오르내리기 힘든 계단식이어서 경사식 '겸용 또는 전환'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다.

더욱이 육교 주변은 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없는 관련 규정 때문에 시민들이 수백m 떨어진 횡단보도를 찾아 돌아가는 불편을 겪고 있지만 당국은 차량중심의 도로운용체계를 고집하고 있다.방촌동 화랑로(시내에서 안심 방면)를 끼고 있는 우방강촌마을, 보성타운 등 1만여 주민들은 육교 밑 횡단보도 설치를 놓고 구청, 경찰과 넉달째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 8월부터 10차로 화랑로 강촌마을네거리 육교 밑에 횡단보도를 설치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주민들은 "망우공원에서부터 강촌마을을 지나는 2㎞ 구간에 횡단보도가 전혀 없어 신호 간간이 10차로를 황급히 건너는 위험한 횡단을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은 "화랑로가 대구에서 동대구 IC 및 영천, 경산을 오가는 간선도로라는 이유로 차량 중심으로 도로를 운용하고 있다"며 "도로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계속 들어서고 시민들의 도로이용수요가 늘어나는데 맞춰 교통시설을 개선해야한다"고 말했다.주민들은 "당국이 육교를 설치할 때 유모차, 손수레, 자전거, 휠체어 등의 통행 편의를 고려해 계단식과 경사식을 모두 갖췄으면 이같은 불편이 없었을것"이라며 아쉬워 했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도로교통법상 육교 밑에는 교통사고를 우려해 횡단보도를 설치하지 않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계단식.경사식 겸용 육교는 계단식보다 규모가 커 도시미관을 해치고, 인근 상가의 민원을 일으킨다"며 "시 외곽도로를 중심으로 경사식 육교 설치는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