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초·재선 의원들과 중진 개혁파 의원들이 21일 '쇄신연대'를 구성하고 선(先) 제도쇄신 후(後) 전당대회론을 본격 제기하고 나서 그동안 잠복했던 당내 각 계파와 대선주자 진영간 논란이 다시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광옥 대표와 당발전·쇄신특별대책위(특대위)가 제도쇄신·정치일정 논의를 특대위로 단일화할 것을 거듭 촉구하고 있는 데 대해 쇄신연대는 특대위에 대한 '압력단체' 역할을 자임하고 나섬으로써 양측간 대립도 표면화되고 있다.
특대위는 전당대회 시기와 총재·후보 분리 여부 등 정치일정 문제와 함께 '3김(金)시대 이후' 달라질 시대변화와 정치지형에 걸맞은 정당구조의 현대화 등 당 제도쇄신 문제를 병행 추진한다는 방침이고 중도개혁포럼도 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쇄신연대측의 신기남 의원은 "제도쇄신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선논의를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면서 "'선 제도쇄신 후 전당대회' 논의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당초 1월 전당대회를 주장했던 정동영 고문은 이날 "당쇄신과 환골탈태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1월 전당대회는 좀 무리 아니겠느냐"고 밝혀 선 제도쇄신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인제 고문측은 선 정치일정 확정을 주장했고 노무현 고문측은 "정치일정과 개혁후보 연대 등도 정치문화 개혁의 큰 요소이고 제도쇄신에 포함되기 때문에 병행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화갑 고문은 과도체제의 조기종식을 주장했으나 김근태 상임고문은 "당이 민주정당, 국민정당, 전국정당으로 획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면서 쇄신연대의 주장에 동조했다.
이에 앞서 21일 여의도 모 호텔에서 발족한 '쇄신연대'는 "당이 재집권할 수 있도록 지역정당 이미지를 탈피해 전국정당으로 나아가고 1인 지배정당 구조를 민주정당 구조로 바꾸기 위해 당을 걱정하는 의원들이 모여 연대를 결성하기로 했다"고 모임 대변인격인 장영달 의원이 밝혔다.
모임을 주도한 신기남 의원은 "제도쇄신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선논의를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선 제도쇄신 후 전당대회' 논의를 주장하고 "당의 정체성을 갖고 있는 이 모임이 당의 중심세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쇄신연대는 오는 28일 2차 모임을 갖기로 하고 김원기·정대철 상임고문과 조순형·박상규·장영달·신기남·이미경·김태홍 의원 등 8명을 모임 준비위원으로 선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