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지방 황폐화, 더이상 방관말라

정부가 입만 떼면 '지방의 발전'을 위한다고 생색을 내왔으나 최근 나온 통계들은 갈수록 수도권이 비대화하고 지방의 황폐화가 가속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등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3/4분기 인구이동 집계 결과에 따르면 대구는 이 기간중 2천319명, 경북은 4천484명이 각각 줄어들었다. 대구·경북은 지난 2/4분기에도 각각 3천명, 4천명선 줄어드는 등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2/4분기중 서울이 비록 2만7천명 줄긴 했으나 경기도가 6만6천명이 느는 등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지방의 황폐화는 지방세 비중이 국세에 비해 갈수록 하락하고 있는데서도 잘 나타난다. 기획예산처 자료에 의하면 올 총조세 119조3천496억원 중 지방세는 23조4천500여억원으로 19.6%에 불과하다. 지방세 담세율은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이전인 지난 93년의 21.9%보다도 크게 떨어지는 등 갈수록 하락해 왔다.

이같은 지표들은 지방경제가 갈수록 몰락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들이다. 말만 지방자치지 수도권으로의 집중현상은 더욱 심화, 지방은 산업이 공동화 되는 등 껍데기만 남아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우리는 이와관련, 정부가 명실상부하게 지역을 살릴 수 있는 획기적인 특단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지금과 같은 형식적인 무늬만의 지방발전 시책으로는 갈수록 공룡화 되고 있는 수도권의 '블랙 홀'에 삼켜져 지방은 형해화 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지방의 발전 없이는 진정한 국가경쟁력도 기대할 수 없으며 더더욱 국가발전은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우리는 정치권과 정부가 최근 불붙고 있는 지방분권 운동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지방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들을 시급히 마련하기를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