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큐멘터리로 제작한 동물 짝짓기 비디오는 자본주의사회를 겨냥한 수출용인 것으로 전해졌다.
4일 외교관 출신 탈북자들에 따르면 북한은 "성이 개방된 서방 자본주의 나라를 상대로 동물 짝짓기를 담은 비디오를 수출하면 돈벌이가 될 것"이라는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의지시에 따라 지난 80년대초 이같은 비디오 제작에 들어갔다.촬영은 주로 북한 중앙동물원과 아프리카지역의 자연동물원에서 이뤄졌고 짐승으로부터 물고기에 이르기까지 각종 동물의 신기한 짝짓기 장면이 생생하게 담겨져 있다고 이 비디오를 본 이들은 전했다.
또 제작진을 만난 적이 있는 탈북외교관은 "생생한 장면을 찍기 위해 며칠밤을 꼬박 세우는가 하면 차디찬 물속에 수십번 잠수를 하는 등 제작진이 숱한 곤욕을 치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같은 공로가 인정돼 일부 카메라맨은 '공훈예술가' 칭호까지 받았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 84년께 약 30부작의 동물짝짓기 비디오를 완성, 일부 북한대표부에 보내 외교관들로 하여금 판매토록 하는 등 은밀하게 서방에 수출하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비디오 제작을 지속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80년대 중반 이탈리아에서 열린 영화제에 이 비디오를 출품시키기 위해 과학영화촬영소 제작진과 영화수출입상사 관계자들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했으며, 당시 이 대표단은 현지에서상당한 양을 판매했다고 탈북 외교관들은 전했다.
그러나 이 비디오가 북한 TV에 방영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비디오 원본이 그대로 방영된 것이 아니고 짝짓기 장면이 일부 삭제돼 방영되는 것을 중앙TV를 통해 수차례봤다"고 한 탈북 외교관은 말했다.
특히 조선중앙방송위원회에서 20여년간 기자로 근무했던 한 탈북자는 "북한이 80년대부터 동물 짝짓기 비디오를 다른나라에 팔아 돈벌이를 해왔지만 북한의 공중파TV에서는삭제 편집해 방영했을 뿐 그대로 내보낸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이 탈북자는 "북한주민들은 영화에 나오는 키스장면을 보고도 신기해 할 정도로 보수적"이라면서 "북한당국이 이같은 주민들에게 동물 짝짓기 장면을 그대로 보여 줄리가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