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소비가 늘어나는 계란의 품질 향상과 유통질서 확립 및 외국산 계란 수입 억제를 위한 '계란 등급제'가 전국 처음으로 12일 대구에서 시범 실시됐다.
농림부는 2년 전부터 공청회 등을 통해 도입이 거론되던 등급제를 우선 대구.경북양계조합 3개 집하장 중 대구집하장에서 실시한 뒤 점차 확대 적용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제도는 종전 중량 기준으로 5가지(왕란.특란.대란.중란.소란)로 나눠 가격을 정하던 방식에다 품질 등급(A.B.C.D)을 보태 최종적으로 계란을 4등급(1+, 1, 2, 3등급)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품질 등급은 외관검사와 투광검사(노른자.흰자 등 검사)를 거친 뒤 할란검사(깨뜨려 하는 검사)를 통해 이뤄지며, 표본 중 A급이 70% 이상 나오면 1+등급, B급 이상이 80%를 넘으면 1등급, C급 이상이 95% 이상이면 2등급, C급 이상이 95%미만일 경우 3등급 판정을 받게 된다.
대구 집하장 김승철 대리는 "대구에서의 계란 등급제 시범실시는 물량과 직판 비율 등 여건에서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집하장에는 9개 농가가 생산한 25만개가 공급돼 85%는 직판, 나머지는 위판된다. 농림부는 전국적으로 하루 3천만개의 계란이 유통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 대리는 그러나 "현재 105원인 특란의 경우 등급제 이후 값이 2배 이상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국내 계란가격이 외국산보다 최고 배 이상 비싸 제과.제빵회사들이 분말로 된 외국계란을 수입 중이어서 등급제를 통한 계란품질 향상과 차별화된 공급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경우 62.6g짜리 계란의 국내가격은 72원인 반면 인도는 38.1원, 중국은 43.1원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한편 농림부에 따르면 계란 소비는 갈수록 증가세를 보여 1980년대 1인당 소비량이 6.5㎏였으나 90년대 초에는 9.7㎏으로 늘어났고 99년과 지난해는 9.8㎏, 10.3㎏으로 늘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