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당나귀들이 다가오듯어두움이 왔다
갈참나무잎들은 끼리끼리 입맞추며
각자의 잠자리로 찾아들었다
지금 적막한 계곡에서
흐르는 물만이 소리 낮추지 못하는 건
물 밑 모래,
돌들의 안달 때문이다
제 자리에 서지도, 멀리 가지도 못하는
조바심 탓이다
검은 당나귀들이 지나가듯
밤이 깊어지고,
당나귀들이 뿜어내는 지린내처럼
질펀한 밤이
안달하는 것들의 얼굴을 덮어버렸다
-김세웅 '야영'
계곡에서 야영을 할 때 밤이 깊어지면 물소리만 계곡 가득히 들린다. 그런데 그 물소리가 물 밑 모래, 돌들의 안달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런데 시인의 예민한 감각은 그것을 눈치채고 있다. 특히 제 자리에 서지도, 멀리 가지도 못하는 조바심 탓이다는 구절에 이르면 어느새 안달하는 주체가 모래나 돌이 아닌 인간으로 전환되는 정서의 극적 전환을 맛보게 된다. 이 지점에서 독자들의 자기 성찰의 공간도 생긴다. 이게 바로 시의 힘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배현진, 조국 겨냥해 "강남 집값 올린건 문재인·박원순 커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