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러쓴 모자속에새벽을 담고
가난한 정성을 쥐어주는
아내의 눈인사를 받으면
제 온도보다 조금 더
높아지는 도시락
하루의 생존을
이마에 묶고 꿈을 절구는
아픈 갈증을 동여 매면
미끄럼을 타는 땀줄기
놀이터의 아들이 떠오르고
쨍쨍한 햇발
아픈 허리를 태운다
-박병영 '어떤 일상(日常)'
※이른 새벽 모자를 눌러쓰고 일과를 나서는 가장, 아내가 건네주는 도시락은 따뜻한 온기가 있다. 보자기에 싼 도시락을 허리에 꿰차거나 자전거 뒷자리에 묶어 신나게 페달을 밟던 풍경은 확실히 70년대 풍이다.
이 시에서 보이는 정서는 바로 그 70년대 풍이다. 가난과 촌스러움의 얼룩이 약간은 남아있다. 하지만 그게 아름답다. 잘 빚어진 매끄러운 시보다 약간은 빈 듯한 거친 시가 독자의 가슴을 때리는 것은 짙은 삶의 페이소스 때문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