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임금·인력관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순 노동업무를 용역업체에 맡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나 소속 용역노동자들은 제도 부실로 최소 기준에도 못미치는 임금, 열악한 작업환경, 사회보험 제외 등 삼중고를 겪고 있다.
현재 대구지역 용역업체 수는 협회에 등록된 280개 업체를 포함 400~500개 정도이고 소속 노동자는 3만~4만명으로 추산된다.
용역노동자들이 받는 월급은 보통 남성 70만~80만원대, 여성은 50만원대. 그러나 노동자 본인들은 실제 받는 돈이 법정 최저 임금(44시간 근무에 51만4천150원)에도 못미친다고 했다.
대구시내 한 빌딩 청소 용역노동자 손모(65·여·지저동)씨는 주당 56시간을 일하고도 겨우 월 52만원 받는다고 했다. 전국여성노동조합 도재금(59) 경북대 미화원분회장은 "실수령액 49만9천원에서 교통비 4만~5만원을 빼면 45만원 수준"이라고 했다.
대부분 용역노동자들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잠시 쉬기조차 어렵다고 했다. 24간씩 2교대 근무한다는 수성구 한 빌딩 경비원 박모(65·수성동)씨는 "19시간 서 있다가 인적이 뜸한 새벽에 5시간 정도 앉을 수 있다"며 "근무 중에는 손님들과 얘기하는 것조차 사용자가 꺼린다"고 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의료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 등 보호장치는 부실하기 그지없다. 상당수 보험은 가입하든 말든 용역노동자들이 선택토록 강요되기 때문.
'불안정 노동 철폐 연대'에 따르면 4대 보험에 가입한 용역업체는 50% 미만이다. 건강보험 가입률만 상대적으로 높을 뿐 국민연금·산재보험·고용보험은 형편없다는 것. 또 법적 제재때문에 어쩔수 없이 가입은 하더라도 실제 지켜지는 경우는 드물다고 했다. 용역 노동자들은 나중에 실업급여조차 받을 수 없는 형편인 것이다.
전국여성노동조합 김영숙(46) 대구지부장은 "법정 최저임금을 더 높여야 이들이 보호될 수 있다"고 했다. 용역업체들이 지금 정도의 임금을 주는 것도 법적인 강제때문이라는 것.
민주노총 대구본부 주상혁(30) 선전부장은 "파견근로제를 즉각 폐지해 용역업체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환기자 lc15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축의금' 논란 최민희,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깨시민!"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