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야, 너는 길 없는 길을 가져서 부럽다. 길을 내거나 아스팔트를 깔지 않아도 되고
가다가 서다가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디든 날아오를 때만 되면 잠시 허공을 빌렸다가
되돌려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길 위에서 길을 잃고, 길이 있어도
갈 수 없는 길이 너무 많은 길 위에서
새야, 나는 철없이 꿈길을 가는 아이처럼
옥빛 허공 깊숙이 날아오르는 네가 부럽다.
-이태수 '새에게'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자유'를 형벌이라고 했다. 자유는 끊임없는 존재의 불안을 가져오고, 현대인은 주어진 그 자유안에서 결단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이 시의 화자가 새를 부러워하는 것은 새의 자유 때문이다.
우리 앞에 놓여진 많은 길을 두고도 길을 잃거나 길을 가지 못하는 것은 비록 이 시의 화자뿐이 아니다. 두 갈래 길 가운데 어느 길을 가도 회한은 남기 마련이라는 게 미국 시인 푸르스트의 시이다.
또 새해가 시작된다. 우리에게 주어진 길을 열심히 걸어가보자.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