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야, 너는 길 없는 길을 가져서 부럽다. 길을 내거나 아스팔트를 깔지 않아도 되고
가다가 서다가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디든 날아오를 때만 되면 잠시 허공을 빌렸다가
되돌려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길 위에서 길을 잃고, 길이 있어도
갈 수 없는 길이 너무 많은 길 위에서
새야, 나는 철없이 꿈길을 가는 아이처럼
옥빛 허공 깊숙이 날아오르는 네가 부럽다.
-이태수 '새에게'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자유'를 형벌이라고 했다. 자유는 끊임없는 존재의 불안을 가져오고, 현대인은 주어진 그 자유안에서 결단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이 시의 화자가 새를 부러워하는 것은 새의 자유 때문이다.
우리 앞에 놓여진 많은 길을 두고도 길을 잃거나 길을 가지 못하는 것은 비록 이 시의 화자뿐이 아니다. 두 갈래 길 가운데 어느 길을 가도 회한은 남기 마련이라는 게 미국 시인 푸르스트의 시이다.
또 새해가 시작된다. 우리에게 주어진 길을 열심히 걸어가보자.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