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지역의 지난해 문화재 도난.도굴 피해 규모가 2001년보다 무려 50배로 급증했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더구나 경북 지역의 문화재는 전국의 20%에 이르는 1천500여점으로 시.도 가운데 가장 많다는 점을 떠올린다면 부끄럽고 답답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난 당한 문화재는 놀랍게도 297점(지정 59점, 비지정 238점)이나 된다.
2001년의 6점에 견주면 엄청나게 늘어났으며, 경북 지역이 문화재 전문 절도단이나 도굴꾼들의 표적이 됐다는 이야기다.
경북도는 대선.월드컵 열기 등 정치.사회적인 분위기가 어수선한 틈을 타 문화재 사범들이 기승을 부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하고 있지만, 이토록 문화재 관리에 구멍이 나 있었다면 어디 말이나 되는 소리인가. 이제 와서 시.군에 26개 문화재 사범 단속반을 운영하고, 명예관리인을 1천215명으로 확대하는가 하면, 49명의 사법 경찰관리를 지정하고 나섰다 하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격이 아니고 무엇인가.
문화재 도굴이나 절도는 그 방면에 산전수전을 겪었거나 전문지식과 도굴 기법 등 고도의 기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아무나 할 수 있는 범죄는 아니다.
이른바 '스승' '대가'들에게 '기술'을 전수 받아야 범행을 저지를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문화재 관리 수준은 문화재 전문 도굴.절도단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는 얘기가 되는 셈이다.
문화재는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 문화유산'이며, 그 민족이 살아온 역사의 축적이자 예술적 재능의 상징이다.
한번 망가지면 다시 복구할 수 없고,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민족 자산이기도 하다.
문화재를 제대로 지키고 보호하려면 우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문화재청의 조직을 현실에 맞게 확대하고, 사범에 대한 처벌 법규를 강화하는 한편 불법거래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국민 모두가 파수꾼'이라는 참여 의식으로 문화재를 지키고 아끼는 마음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