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에서 경제개혁의 주축이었던 이남기 전 공정거래위원장, 이용근 전 금융감독위원장, 손영래 전 국세청장 등 이른바 경제계 '빅3'로 불리는 이들 3명이 한결같이 뇌물수수나 알선수재혐의로 사법처리 대상이 된건 개혁이 얼마나 겉돌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안이다.
특히 이남기 전 위원장은 '경제 검찰'로 통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수장이란 직위를 이용, SK그룹의 불공정거래 여부에 대한 최종심판에서 제외되고 난 직후 SK측에 10억원의 사찰시주를 강요한 비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에까지 치명상을 입혀 실로 개탄스러운 일이다.
게다가 이용근 전 금융감독위원장은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을 총괄하는 위원장이란 직책을 갖고 있으면서 나라종금의 퇴출을 막아달라는 청탁과 함께 4천800만원을 받았다는 검찰의 기소요지로 볼때 그야말로 경악을 금치 못할 비리를 저지른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손영래 전 국세청장은 SK그룹으로부터 해외출장경비 1만달러를 포함해 2천200만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것도 역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비리를 저지른 것이다.
특히 손 전 청장은 언론사 세무조사로 언론개혁에 앞장섰던 안정남 전 청장이 이른바 '안정남타운'이라 불리는 서울의 요지에 엄청난 부동산을 가진 사실이 국회에서 불거지면서 그 여파로 물러난 직후에 바톤을 받아 서울 청장에서 국세청장으로 승진된 인물이다.
전임자의 엄청난 재산이 과연 공무원 봉급으로 모을 수 있느냐는 도덕성에 문제가 있어 물러났다면 그걸 거울삼아 더욱 청렴해야 할 그 후임자가 이런 비리를 저질렀다는 건 더더욱 용납할 수 없는 행태이다.
이런 부패구조에 젖어있는 인물들이 우리경제를 좌지우지 해온 것도 어불성설(語不成說)이지만 더욱이 그들에게 경제개혁을 하라고 중책을 맡겼으니 그 개혁이 제대로 될리가 있겠는가. 그들에게 돈을 갖다준 주변사람들은 '국민의 정부'의 개혁 그 자체에 얼마나 냉소(冷笑)를 했을까를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기가 찰 노릇이다.
항간엔 과연 그들이 재벌과 금융계를 주물러 오면서 한낱 '푼돈'인 최고 수천만원밖에 받지 않았을까 하는 의혹을 갖는 것도 무리가 아닌듯 싶다.
이들의 부패 사고나 그 비리를 새삼 다시금 살펴보는건 새 정부의 고위 관리들이 이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그야말로 '깨긋한 공직상'을 견지해 줄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임을 잊지 말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