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부흥운동은 만 3년이나 계속되었는데 그 힘은 어디에 있었는가? 이것이 궁금했습니다".
국내 백제사연구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중진 고대사학자 노중국(盧重國.55)계명대 교수가 660년 8월에 나당연합군에 멸망한 백제가 일으킨 부흥운동 전개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한 단행본 '백제부흥운동사'(일조각)를 냈다.
노 교수에게 이번 책은 백제사 관련 단행본으로는 1988년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한 '백제정치사연구'에 이은 두번째.
"이전 책에서는 660년 8월 백제 멸망기로만 끝낸 아쉬움이 컸습니다.
백제는 고구려나 신라의 멸망 때와 비교할 때 부흥운동이 매우 치열한 모습을 보이며 기간도 3년이나 지속되었습니다
이것까지 어떻게든 손을 대야 백제사 전체의 체계를 어느정도 세울 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번 책에서 주목되는 점은 백제의 부흥운동을 '부흥군'이라는 시각에서 탈피해'부흥백제국'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부흥군이라고 할 때는 멸망한 것을 다시 일으키기 위한 군대 정도의 의미밖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백제부흥운동에는 군사조직 외에 왕이 있고 수도가 있으며 여러 장군을 비롯한 관료 조직을 거느린 엄연한 왕국이 있습니다".
이번 책에서 노 교수는 백제부흥운동 3년사를 3시기로 세분했다.
660년 8월에서 이듬해 9월 부여풍이 왕으로 즉위하는 1년을 '부흥군 활동시기'로 보는 한편 663년9월까지 2년간은 '부흥백제국의 시대'로 설정했다.
나아가 663년 11월, 당에 투항한뒤 백제토벌군 선봉대에 선 흑치상지 군대에 의해 지수신이 패배해 고구려로 도망할때까지 약 3개월간은 '최후의 항전시기'로 규정했다.
마지막으로 백제부흥운동을 진압하고 당군마저 축출한 신라가 어떻게 백제를 포섭하려 했는지도 주목했는데 이에 대해 노 교수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신라가 여러 포용정책을 썼으나 사람을 등용하는데는 한계를 보였습니다.
저는 이것을 신라가 경주 중심의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한 증좌로 간주합니다". (383쪽.2만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