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항공국(FAA)은 지난 2001년 9.11테러 공격 수개월전 이미 테러범들이
민간 항공기를 공중납치, 미사일 무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음에도 이를
무시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국가테러공격조사위(NCTA)가 27일 말했다.
조사위는 26,27일 이틀간 열린 9.11테러 관련 7번째 청문회에 제출한 보고서 초
안에서 9.11 테러 수개월전 작성된 FAA의 관련 문서들을 토대로, "미국내에서 공중
납치 자살테러의 잠재적 가능성에 대한 FAA 보안관계자들의 공식 검토는 지난 98년
3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며 "FAA는 그러나 2000년과 2001년초 각 항공사와 공항측
에 보낸 평가서에서 알 카에다 같은 단체가 현재 그런 식의 생각을 하고 있다는 구
체적인 징표가 없다며 그러한 위협의 심각성을 무시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FAA는 2001년 7월 여름 정보기관들이 보안위협 고조상황을 탐지해냄
에 따라 민간항공기를 이용한 테러 가능성을 각 항공사에 경고하는 등 대응을 하긴
했으나, 아라비아 반도와 이스라엘을 겨냥한 테러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미국
민간항공을 대상으로 한 공격계획에 대해선 믿을 만한 증거가 없다고 통보했다"고
지적했다.
FAA는 이와함께 테러범들에 의한 폭발물의 민간항공기내 밀반입을 더 당면한 위
험으로 간주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토머스 키언 조사위원장은 FAA의 이같은 조치와 함께 특히 항
공기 승객명단을 미 국무부가 보유한 6만1천명의 잠재적 테러범 명단과 대조해보지
않은 것을 맹비난했다.
한편 26일 첫날 청문회에 출석한 호세 E. 멜렌데스-페레스 세관원의 증언에 따
르면 그가 올랜도 국제공항에서 알 카흐타니라고 알려진 테러범 용의자의 미국 입국
을 불허함으로써 알 카흐타니는 9.11 테러 당시 유나이티드 항공 93편을 공중납치한
다른 테러범들과 합류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당시 공중납치된 4대의 비행기가운데 유일하게 이 비행기만 테러 목
표물을 공격하는 데 실패했다.
오는 5월27일 조사보고서를 완성하도록 돼 있는 조사위는 활동기간 연장을 추진
하고 있으나, 그럴 경우 최종 보고서 완성 시점이 미 대선 한 복판이 될 것이기때문
에, 백악관측의 입장이 주목된다.(워싱턴 AFP =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