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대회때 사용하던 가전제품들과 각종 사무용품, 가구들은 어떻게 됐습니까?'
지난해 8월31일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는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당시 사용하던 가전제품들은 아직 그대로 남아있다.
현재 남아있는 물품은 선풍기 8천287대, 전화기 4천984대, 휴대전화 448대 등 7종류 수량 1만4천893대. 감정가격으로는 5억2천8백여만원이며, 중구 수창동에 있는 물자중앙창고(1천800평)에 보관 중이다.
이에 대한 처분을 두고 고민하던 U대회 조직위 물자지원팀은 9일 시, 조달청, 자산관리공사 홈페이지에 긴급입찰공고를 내고 U대회 물품매각에 나섰다.
그러나 1, 2차 공개입찰은 이미 유찰됐으며, 3차 입찰은 오는 18일 오후2시, U대회 조직위원회 물자중앙창고(수창초등학교 정문앞)에서 열린다.
1, 2차 입찰이 유찰되었기 때문에 이번 세 번째 입찰가는 10%가 내린 가격이며, 네 번째 입찰 때는 다시 또 총금액의 10%를 내리게 되며 그래도 낙찰자가 없을 경우 수의계약을 통해 처분할 예정이다.
감정가격은 선풍기의 경우 대당 1만9천원, 전화기 1만4천원, 휴대전화 20만5천원, VTR 14만5천원 등으로 정가의 40% 수준. 그러나 박스포장이 되지 않은 제품(전체의 5%)도 있고, 마모된 제품도 있어 일부제품은 자체적으로 처분해야 할 형편이다.
또 물자창고 사용계약 기간이 지난해 4월7일부터 만 1년이어서 오는 4월6일까지는 창고를 비워줘야 한다.
한편 일부 시민들은 U대회 조직위의 물자처분을 두고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물건을 사고자 하는 시민들을 위해 개별판매를 실시하지 않고 일괄구매방식을 통해 한꺼번에 처리, 행정편의주의라는 비판을 사고 있는 것.
'에어컨이 싸고 괜찮다'는 소문을 듣고 13평형 에어컨(54만원)을 구입하려 했던 한 시민은 "1순위는 입주자, 2순위는 U대회 기여자로 순위를 정하다보니 살 기회를 잃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윤효영 물자지원팀장은 "현재 U대회 조직위가 축소돼 팀장을 포함, 5명이 물자관리팀에서 근무하고 있어 인력운영에 한계를 느낀다"며 "많은 가전제품을 개별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고 답했다.
권성훈기자 cdrom@imaeil.com
사진:이상철기자 finder@imaeil.com
사진:지난 U-대회때 사용했던 가전물자가 새주인을 기다리며 창고에 쌓여있다. 매각 감정가는 약 6억원. U-대회 휘장 사용대가로 지원받은 이 물자를 대회조직위측이 단체입찰 매각하려는 방침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실수요자들에게 직접 매각해주길 바라고 있다. 그러나 조직위측은 인력난과 비용문제로 부득이 단체매각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이상철기자 find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