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양계시장 황폐화 뒷북농정의 책임

조류독감에 대한 대처미숙으로 양계농가와 관련산업이 도산직전으로 내몰린 것은 뒷북농정의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까 싶다.

국내서 조류독감이 발생한 이후 두달이 지나면서 국내 닭.오리의 소비는 3분의 2 이하로 줄었으며, 값도 생산비 이하로 대폭 내려 14만 양계농가는 도산 직전이다.

뿐만 아니라 가공, 유통 외식업체 등 관련 산업 종사자 73만여명이 생존 위협을 받고 있다.

상황이 이처럼 심각해지자 농림부는 최근 뒤늦게 '치킨 송'을 공모하고 국가대표 운동선수와 연예인을 동원, 닭고기의 안전성을 홍보키로 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농림부의 뒷북행정에 대해 업계에서는 "닭보다 사람이 먼저 죽게된 마당에 이제와서 수선을 떨어봤자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며 따가운 눈총을 보내고 있다.

정부와 농림부는 진작부터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 나섰어야 했다.

지방자치단체나 소비자단체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닭고기먹기대회를 열어 닭고기의 안전성을 홍보하고 소비촉진운동을 벌일때 관계당국은 한.칠레자유무역협정(FTA) 국회통과에 만 매달려 닭과 오리고기의 수매량만 조금 늘렸을 뿐 팔장만 끼고 있었다.

정부와 농림부는 조류독감과 미국 쇠고기 광우병 여파가 서로 맞물려 극도로 혼란해진 육류시장 질서를 바로 잡고, 국내 육류소비물량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했어야 했다.

우리는 본란을 통해 수차례 이 점을 지적해 왔다.

시민들의 소비를 촉구하고, 대기업 삼성이 벌이고 있는 '치킨 데이'같은 소비촉진 운동을 현대나 LG같은 대기업들도 펼쳐 줄것을 호소해 왔다.

그것이 FTA 국회통과를 학수고대하고 있는 기업에 명분도 서고, 농민도 돕는 상생의 길이라 믿기 때문이었다.

어떻든 문제는 소비자들의 현명한 판단에 달려있다.

아무리 소비촉진운동을 벌여도 소비자들이 호응을 않는다면 효용이 없다.

우리 소비자들도 조류독감 후 일본은 닭소비가 오히려 늘고, 미국도 광우병 파동에도 불구 쇠고기 수요가 여전하다는 사실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