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대구.경북지역 공천심사가 막바지다.
현역 물갈이를 기치로 작업이 한창이나 역풍이 만만찮다.
여기다 외부영입 작업도 순탄치 않아 말썽이다.
17일엔 시도지부장을 불러 현지 의견을 묻기도 했다.
◇어수선한 공천구도=대구 동구갑(甲) 공천을 신청했던 임대윤(林大潤) 전 동구청장의 탈당 및 동구을(乙) 출마로 공천판도가 완전 뒤바뀌게 됐다.
임 전 청장이 빠짐에 따라 강신성일(姜申星一) 의원의 공천 가능성이 그만큼 커졌다.
마찬가지로 예비후보군인 김천희.안태전.김상인씨 등도 여지가 넓어졌다.
그러나 일단 경선 가능성은 없어 보이며 외부영입도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후문. 다만 강 의원이 최근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상승, 공천심사위원들이 깊은 인상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창달(朴昌達) 의원과 서훈(徐勳) 전 의원간 대결로 좁혀졌던 동을은 임 전 청장의 무소속 출마로 구도가 복잡해졌다.
임 전 청장에 견줄 만한 인사를 공천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박 의원이나 서 전 의원만으론 다소 역부족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공천심사위원은 "영입을 토대로 공천을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구 수성을 공천을 신청했던 주성영(朱盛英) 변호사가 3차 공모에서 동을 지역을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선 변수 등장=김만제(金滿堤) 의원의 불출마 번복으로 대구 수성갑의 경선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
김 의원과 이원형(李源炯) 의원 간 경선을 김문수(金文洙) 공천심사위원장이 확약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홍준표(洪準杓).김성조(金晟祚) 심사위원도 '이벤트(경선)'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경선에 힘이 실리고 있다.
그러나 다수 공천심사위원들은 여전히 이한구(李漢久) 의원의 공천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에 대한 지역 내 반발도 만만찮지만 밀어붙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중.남구 지역의 경선여부도 여전히 변수다.
외부영입설이 아직 힘을 얻고 있지만 소수나마 공천심사위 내에서 경선이 타진되고 있다.
당 대구시지부도 경선을 바라고 있다는 후문이다.
경선이 이뤄지면 신동철(申東喆) 부대변인과 김석순(金石淳) 킴스치과 원장, 신철원(申哲沅) 협성재단 이사장, 구본건(具本建) 중앙위 청년부위원장 등이 대상이 된다.
그러나 상대당 출마후보(이재용.조순형)와 맞설 수 있느냐에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아 걸림돌이다.
◇외부영입 흐지부지=공천심사위가 가동된 뒤 여러 차례 외부영입이 타진됐지만 이렇다할 성과가 없었다는 게 일반적 견해다.
영입 인물 면면을 볼 때, 지역 내 신망이나 연고 개념이 전무하고 개혁적 인사로 분류할 수도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석채(李錫采) 전 정보통신부 장관, 심재륜(沈在淪) 전 대구고검장, 김두우(金斗宇)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노성태(盧成泰)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법무부 검찰국장 출신의 장윤석(張倫碩) 변호사, 이정무(李廷武) 한국체육대 총장 등의 이름이 흘러나왔으나 공천 여부가 불확실하다.
그나마 1, 2명 정도는 그런대로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기대는 이르다.
또 유승민(劉承旼) 전 여의도연구소장은 이회창(李會昌)계로 분류되면서 지역구는 물론 전국구 공천대상에서도 제외됐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