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사협력프로그램 겉돈다

정부가 발전적인 노사관계를 위해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노사협력 프로그램 재정 지원 사업이 대구.경북지역 사업장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19일 대구지방노동청에 따르면 노사협력 프로그램을 신청한 대구.경북의 사업장은 지난달말 접수 마감 결과 11곳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에 그쳤다는 것. 이에 따라 대구노동청은 접수 기간을 이달 25일까지로 연장했으나 19일 현재까지도 추가 신청이 전혀 없는 상태다.

지난해에도 대구.경북은 26개 사업장이 신청해 이 중 5곳만 선정, 전국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서울.강원지역은 87개 사업장이 신청해 18곳이 선정됐고, 인천.경기 88곳 중 17곳, 광주와 전.남북 40곳 중 10곳, 부산.경남 46곳 중 9곳, 대전과 충.남북은 30곳 중 9곳이 재정 지원을 받았다.

노사협력 프로그램이 대구.경북에서 제대로 활용 안되는 것은 사업주의 관심이 적은 데다 사측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것으로 오해받을 것을 우려, 참여를 꺼리는 노조도 적잖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대구노동청 관계자는 "대구.경북의 사업장 수가 타도시에 비해 적은 것도 신청이 저조한 원인 중 하나"라며 "제출 자료가 방대한데 비해 선정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사업장의 인식도 문제"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지원 대상 사업장 4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5%가 사업내용에 만족하며 정부 지원없이도 노사협력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겠다고 응답하는 등 노사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적극적인 신청을 당부했다.

한편 이 프로그램은 연구나 교육.연수.세미나 개최, 홍보물 제작 등에 지원하는데 사업장 단위는 최고 3천만원, 지역.업종단위는 6천만원까지이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