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은행 상장 폐지 방침에 '우려' 제기

씨티그룹이 한미은행에 대해 상장 폐지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단순히 국

부 유출 차원을 넘어 금융정책 추진 과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

전개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한미은행의 상장 폐지 문제에 대해 "아직 확

고한 계획은 없다"며 유보적 입장을 표명했으나 한미은행 지분 공개매수 목표를 8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실상 상장 폐지 절차를 밟을 것임을 이미 표면화했다.

씨티그룹이 당장 상장 폐지를 신청하지 않더라도 최대주주 지분이 80%를 넘으면

증권거래소 규정상 주주 분산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관리종목 지정을 거쳐 2년 뒤에

는 자동적으로 상장 폐지되기 때문이다.

외국 자본이 국내 상장사를 인수, 자진해서 상장 폐지한 것은 지난해 10월 극동

건설을 비롯해 여러 사례가 있지만 은행이 그 대상이 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화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은 "한미은행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이익이 고스란

히 빠져나가는 것도 우려스럽지만 상장 폐지로 시장의 자율적인 견제 기능이 작동되

지 않아 은행의 공익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은 더욱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미은행은 지난해 SK네트웍스와 신용카드 부실에 대한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으로 순익 규모가 462억원에 그쳤지만 2002년에는 2천142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했

었다.

삼성경제연구소 박현수 수석연구원은 "한미은행 지분을 100%까지 인수한다는 것

은 한국에서의 은행 경영을 씨티은행의 이해에 맞추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고 해석

하고 "금융기관으로서 수익성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공공성 측면에서는 바람

직하다고는 볼 수 없다"고 논평했다.

그는 "특히 금융 당국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창구 지도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에서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력 축소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연구원 한상일 연구위원은 그러나 "씨티그룹이 한미은행의 상장 폐지를 추

진하는 것은 소액주주 존재에 따른 법률적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부정적 측

면 외에 긍정적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고 풀이하고 "씨티은행과의 경쟁을 통해 국

내 은행의 국제 경쟁력이 오른다면 상장 폐지의 부작용을 상쇄할 수도 있을 것"이라

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