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政務수석 어디가고 '强性들' 뿐인가

지금 정치판은 검은 염소와 흰 염소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난 형국이다.

어느 염소도 비켜설 생각이 없다.

고집불통이다.

뿔로 들이받다가 둘 다 떨어지면 주인은 염소 두마리 다 잃는다.

그 주인은 바로 국민이다.

야당은 탄핵정족수에 불안해 하면서도 막판까지 가보겠다는 심산이고 국정을 책임진 노무현 대통령도 타협보단 승부에 더 집착이다.

여기다 열린우리당은 국회해산론까지 들먹인다.

이쯤되면 막가자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이야말로 대통령과 야당대표가 만나 상호 정치공세의 중단과 대통령의 선거중립 의지, 경제회생의 해법모색에 손을 맞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자면 노 대통령은 국민에게 연유야 어찌됐든 이 사태에 유감을 표시하라. 야당은 당장 탄핵소리를 거두라. 대통령의 사과표시는 야당이 아니라 국민에 대한 것이므로 결코 자존심의 문제가 아니다.

'대통령이 선거법을 위반했다'고 선관위가 결정했으면 대통령은 수용하면 그 뿐인데 괜스레 토를 달아 정치공세의 빌미를 제공했다면 대통령도 분명 책임이 있는 것이다.

두 야당도 마찬가지다.

노 대통령의 정치적 행위와 표현에 문제 있으면 국회에서 따지고 국민에게 호소할 일이요, 그것은 총선에서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국민을 설득못하면 패배하는 건 당연하다.

이걸 탄핵이라는 무리수 맞서는 건 정책부재.위기탈출의 꼼수로 읽혀 마땅하다.

본란은 동시에 정국 해법의 묘수를 찾아야할 청와대 내부가 '강성기류'에 휩싸인 상황에 주목하고자 한다.

"내가 누굴 지지하든 웬 시비냐"는 발언 이후 '선관위의 결정'에 대한 노 대통령의 직접 발언은 한마디도 보도된 것이 없다.

"대통령의 정치적 의사표시를 선거법위반으로 재단할 수 없다"며 악법론까지 제기한 이병완 홍보수석의 강경발언, "부당한 정치공세에 개의치 않겠다"는 윤태영 대변인의 녹화된 스피치만 되풀이 됐지 대화.타협을 위한 세객(說客)의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이것이 문제다.

정치가 난마처럼 꼬였을 때 필요한 것이 '중매쟁이', 청와대 정무수석인데 유인태 정무를 총선에 내보내 놓고 노 대통령은 후임자를 지명하지 못했다.

이 또한 실책이라면 실책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