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재난대처 아직 그대로

지난 4, 5일 내린 100년 만의 '3월 폭설'은 우리의 재난 대비 시스템이 얼마나 부실한지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어디 한두 번 당해야지요. 여름이면 태풍, 겨울이면 폭설에 매년 피해를 입고 있지 않습니까? 감기조차 예방주사를 맞는데 엄청난 재앙을 불러오는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대비가 전혀 없으니 당연합니다.

우리 국민들만 불쌍하지요". 함동호(38.예천읍 청복리)씨는 정부의 재난 무대책을 비난했다.

기상당국도 지난 4일 저녁 빗나간 일기예보(적설량 5~10㎝)로 이번 폭설 피해를 키웠다.

그러나 밤새 내린 눈은 심상치 않았다.

따라서 5일 오전에라도 폭설 대비를 당부했어야 했다.

사실 대부분의 비닐하우스 피해는 5일부터 발생했다

결국 정부나 지자체들은 이번에도 예견된 재해를 예방하지 못했고 형식적 피해조사와 '언 발에 오줌 누기'식 재해보상 기준 발표만 연례 행사처럼 되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변명만 늘어놓는다.

"기온상승 등 기후변화로 한반도에 기상이변이 잦다"는 말만 앵무새처럼 반복한다.

한두 번 들은 얘기가 아니다.

기상이변이 잦다면 마땅히 기상이변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국가적으로 재난에 대비한 긴급 구호책과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하룻밤이 지나도록 고속도로조차 소통 못시키는 나라가 어떻게 선진국에 진입한다고 하는가?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해도 국가방재시스템이 이 지경이면 후진국일 수밖에 없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구태의연한 처방은 이번 폭설로 끝내야 한다.

주먹구구식 안전 관리방식도 폐기해야 한다.

국민들도 안전불감증을 버려야 한다.

정부는 폭설 피해 농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복구대책과 보상책을 마련하고 이제 다시는 예고된 자연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2부.마경대기자 kdm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