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탄핵정국과 관련, 총선 결과와 자신의 재신임을 연계,
정국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밝히고 나섬으로써 그 결단의 내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춘추관에서 열린 특별기자회견에서 "총선 결과에 상응하는 정
치적 결단을 하겠다"며 "저의 진퇴까지를 포함한 결단의 구체적인 내용은 입당하는
시기쯤 밝히는게 좋겠다"면서 "이미 방향은 서 있다"고 밝혔다.
물론 청와대 관계자들은 노 대통령의 '결단'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
하고 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내용을 애매하게 해놓고 국민을 헷갈리게 한다거나 협박하
지 않겠다"며 "명확하게 조건과 결과를 이해할 수 있고 혼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
혔다.
노 대통령의 '결단' 내용을 놓고 청와대 주변에서는 ▲4.15 총선에서 확보할 정
당 득표율 ▲열린우리당의 개헌지지선(재적의석의 3분의 1인 100명) 확보 여부 등을
근거로 제시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전자는 50%에 가까운 정당지지율을 획득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후자가 더
실현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더 설득력 있다는 분석도 있다.
우선 열린우리당의 정당득표율을 재신임 기준으로 제시할 것이라는 견해에 힘을
싣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엇갈린다.
지난해 대선때 노 대통령이 획득한 전국 지지율(48.9%)을 열린우리당이 넘어설
경우 재신임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지 않겠느냐는 견해를 비롯, 원내의석 과반확보
여부, 정당득표율 1위, 열린우리당의 원내 제1당 부상 여부 등이 구체적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런 견해는 노 대통령이 이번 총선 정국을 '안정이냐 불안이냐'는 기조로 끌고
가 총선에 모든 것을 거는 이른바 '올 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지금 한나라당과 민주당, 우리당, 자민련 등 4당체계 속에서 50%에 가까
운 수준의 득표율을 획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개헌저지선 확보 여부가
준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시말해 이번 총선에서 우리당이 개헌저지선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대통령에
대한 불신임으로 간주하겠다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헷갈리지 않는 방법으로 하겠다'고 말한 것은 바로 개
헌저지선을 염두에 둔게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기존 의석수 273명에서 299명으로 늘어난 현행 개정 선거법을 감안할 때 개헌
저지선은 총 100석이 된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