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12일 탄핵정국과 관련, "국가 최고책임자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사과한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진솔한 사과와 반성이 아니다"고 일축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갈등의 원인이 해소됐다"고 했다.
한나라당 은진수(殷辰洙) 수석부대변인은 "노 대통령의 사과표명은 들끓는 비난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탄핵 표결을 앞두고 김빼기 하려는 정략적 발언"이라고 성토했다.
은 부대변인은 또 "노 대통령이 '잘 잘못을 떠나'라고 전제하는 등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 것은 진정한 의미의 사과가 아니다"며 "경박한 언행으로 전문 경영인을 죽음으로 몰고간 것은 비서실장을 내세워 사과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김영창(金泳暢) 부대변인도 "노 대통령이 자신의 잘못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나열하지 않고 국민에게 포괄적으로 탄핵정국을 모면하기 위한 형식적인 사과에 그쳤다"고 힐난했다.
장전형(張全亨) 수석부대변인도 "이미 (탄핵)화살은 시위를 떠났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진솔한 사과와 반성이 없으면 지금과 같은 탄핵정국은 불가피하다"며 표결 강행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은 "노 대통령이 거듭 사과했으나 탄핵으로 몰아붙이려 한다"며 "탄핵 정국 파행책임은 야당"이라고 했다.
정동영(鄭東泳)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탄핵을 막아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굉장히 절박하다"면서 "장난처럼 얘기한 탄핵이 국가혼란과 무질서를 초래할 지경에 이르렀다"고 비난했다.
정 의장은 또 "어제(11일) 밤에 심야 청와대, 4당 대표회담을 성사시키려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허사였다"며 "오늘 새벽 최병렬 대표를 만나 대화를 촉구했지만 '이제 대화는 쓸데없는 짓', '탄핵안을 반드시 가결시킬 것'이라고 해 성과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정치2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