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핵 정국과 언론의 균형성

탄핵과 같은 국가적인 긴장상황에서의 언론역할은 위기극복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타협은 없고 '충돌의 정치'가 빚은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의 산물에 언론매체의 부추김까지 더해진다면 국가혼란까지 불러올 수 있다.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일부 전파매체의 프로그램 내용 등이 걱정스럽다.

예전에 있었던 '편향성'이 떠오르는 상황이다.

언사가 너무 거칠다.

국민들, 불특정 다수의 수용자들을 향하는 메시지는 감정을 절제한, 그래도 격조(格調)유지이어야 한다.

진행자의 흥분된 모습이 더러 보이고 의도된 듯한 내용이 엄정한 잣대를 뒤돌아 보게 한다.

민주당 조순형 대표가 이와 관련해 KBS를 항의 방문했다.

방문자체가 근본적으로는 정치적 행위라고 본다.

그러나 언론의 편파성을 따지는 원인제공, 환경조성 책임은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을 것 같다.

인쇄매체나 전파매체의 태도는 객관성 유지다.

엄밀하게 보면 완전무결한 객관성은 목표이되 현실은 그렇지 못한게 사실이다.

가로 잰듯한 객관성, 언론현장의 숙제다.

객관성의 절대추구와 균형성 유지는 언론이 수용자들로부터 수긍을 얻어내는 중요 요건인 것은 예나 지금이나 틀림이 없다.

우린 특정정당 대표의 방송사 항의방문도 균형감각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할 수밖에 없다.

언론자유 확보에 장애를 거는 압력(壓力) 인상이 짙다.

시정촉구성명 등으로도 의사전달이 충분한데도 굳이 현장 방문형식의 채용은 압박수단을 넘어선 태도라는 지적을 받게 돼 있다.

자제해야 한다.

일부 언론사의 탄핵소추안과 관련한 '감성(感性)매체 기울기'탈피를 바란다.

사회전체의 이익과 공정성에 더욱 접근이 필요하다.

이런 사회적 욕구에 대한 부응은 방송사나 신문사가 같이 져야 하는 몫이다.

언론 매체가 사회의 편가르기에 나서는 듯한 인상이 비쳐진다면 국민들의 비난은 불을 보듯 확연한 일이다.

총선이 한달 남았다.

언론이 어느 특정정치집단의 정서를 대변하는데 매달리면 작위적인 편향성 유도 아닌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