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高建) 대통령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할지 여부가 관심사다.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민주당 조순형(趙舜衡) 대표와 자민련 김종필(金鍾泌) 총재가 13일 대표회담을 열어 18일 임시국회를 소집해 고 권한대행의 시정연설을 듣기로 했으나 고 권한대행이 사실상 이를 거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국무총리실측은 14일 오후 고 권한대행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4당합의 없이는 시정연설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한나라당 홍사덕(洪思德) 총무 등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가 법률적으로 출석을 강제할 수 없다는 것이 근거다.
실제 불출석하면 야3당이 적극적인 국정협력을 다짐하며 한 요청을 고 권한대행이 정면 거부하는 셈이다.
야권의 협조가 절실한 고 총리가 이렇게 버티고 있는 배경은 권한대행이란 자리가 애매한 데다 열린우리당이 야권의 국정협조 다짐이나 임시국회 개최 시도에 대해 고깝게 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열린우리당은 야권의 국정협조 약속을 대통령 탄핵 이후 여론의 역풍을 맞자 벌이는 '정치 쇼'로 보고 있다.
정동영(鄭東泳) 의장이 13일 여야 대표회담을 거절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더욱이 18일 임시국회에 대해서는 '정치 쇼'에다 한나라당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와 민주당 한화갑(韓和甲) 전 대표를 보호하려는 방탄국회의 의미도 가미돼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정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지금 시점에서 임시국회를 여는 것은 야당의 정략적 차원에 불과하다"고 거부 입장을 명백히 하고 있다.
김부겸(金富謙) 원내부대표는 "국정안정을 도우려면 야권은 잘하고 있는 고 권한대행에게 협조한다 만다 하지말고 가만히 내버려 두라"고 말했다.
하지만 고 권한대행이 국회에 출석해 시정연설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임시국회 찬반 공방이 총선을 앞둔 여야의 정략임을 알지만 국회 연설로 국민 불안을 줄이는 의연함을 보일 필요성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