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 정책대결의 場으로 돌아가라

탄핵정국이 잔치판이 돼야할 총선을 냉동시켜 버렸다.

인물과 정책중심이어야 할 국회의원 선거가 중앙당의 싸움판으로 변해 버렸다.

총선이 아니라 대선판이다.

이리되면 선거판엔 흑백의 논리, 친노 대 반노, 민주 대 반민주라는 엉뚱한 메뉴가 깔리게되고 그것은 곧 국론분열과 심각한 선거후유증으로 나타날게 뻔하다.

그래서 국민의 힘은 필요하다.

이 사태를 만든것은 노무현 대통령과 두 야당이지만 이 사태의 해결사는 역시 국민이다.

전국의 지역구 243곳의 후보들은 솔직히 노 대통령이 탄핵을 받든 한나라당이 깨어지든 그것은 관심의 후순위다.

1순위는 자신의 당선이다.

특히나 정치신인들은 이달 31일의 후보등록과 함께 시작되는 선거운동의 메뉴짜기에 중앙당.중앙정치를 돌아볼 겨를이 없다.

그런데 지역경제.지역발전 현안을 갖고 선거를 치르려던 그 구상들이 탄핵정국.중앙정치의 볼모가 돼 버렸으니 지금, 예비후보들마다 울상인 것이다.

본란은 이 시점에서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에 죽기 아니면 살기식의 극단적 대결의 종식을 촉구하고자 한다.

총선은 결코 정권쟁탈전이 아니다.

그런데 친노 대 반노(反盧)라니, 민주 대 반(反) 민주라니? 최병렬 대표가 총선구도를 '친노 대 반노'로 잡은 것은 전혀 옳지 않다.

더구나 이번 총선이 사생결단의 장(場)이라니? 탄핵정국을 자초, 여론의 역풍을 맞고 있다면 예정된 전당대회를 통한 당(黨)의 환골탈태와 정책비전으로 유권자를 설득함이 옳다.

'대안세력'으로서의 이미지 회복이 불가능하다면 패배는 당연한 것이다.

정동영 의장이 '민주 대 반민주'로 총선구도를 몰고가는 것 또한 틀렸다.

그건 독재시대의 구호다.

두 야당이 탄핵문제로 정치적 비판은 받을 수 있다손 치더라도 그것은 '국회'의 탄핵결정일 뿐, 결코 그들이 반민주 집단은 아닐 터이다.

여.야의 이같은 막말정치-눈물샘을 건드려 유권자들 속이기란 쉽지않다.

우리가 각당에 "제발 인물과 정책대결의 장(場)으로 돌아가라"고 호소하는 이유다.

국민들은 지금 의외로 차분해지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