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殘業거부와 탄핵, 관계 있나

민주노총이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가결을 규탄하기 위해 잔업을 거부하겠다고 결의했다.

충격이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개헌논의에 총파업으로 맞설 것이라고 한다.

설득력 부족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우리 노동운동에 대한 우려는 정치세력화에도 모아지고 있다.

군사독재 시대 등에서는 국민들이 이 부문에 대해 노동운동의 외연확대 차원 등으로 이해한 측면이 더러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노동운동의 사회성 등으로 보면 궤도이탈이라는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

탄핵규탄과 잔업(殘業)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동의하기 어렵다.

노동관계법 위반이 아닌지 점검할 일이다.

개헌논의도 노동단체가 왜 그렇게 깊숙하게 쟁의행위까지 거론할 사안인지 되돌아 봐야 한다.

이런 결의가 노동현장에서 적극적인 호응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성향과 연계한 잔업거부에 수긍하는 근로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면 노사관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생산성 저하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은 뻔하다.

탄핵정국에 따른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욱 우려되는 판에 노동현장의 잔업거부까지 겹쳐진다면 경제전반에 걸친 장애는 예고돼 있다고 봐야한다.

민주노총 새 집행부 구성 이후 노동운동의 보편성에 기대를 받고 있다.

사회적인 설득을 바탕으로 한 행로(行路)에 대한 관심도 있었다.

이번의 결의가 새 집행부의 세 과시용이 아니기를 바란다.

상당수 국민들은 이런 분석도 하고 있다는 현실을 민주노총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

노동운동도 이젠 노동윤리에 맞출 것을 기대한다.

일방적인 양보 요구는 아니다.

기본의 틀 유지에 대한 아쉬움이다.

기본의 전제는 협상과 타협이 아닌가. 균형의 선택을 어용으로 보는 비정상적인 사고는 노동운동 발전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민주노총에 대한 기대, 노동윤리 수립도 포함된다.

더 큰것의 성취, 한때의 양보로도 이룩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