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급 8억 收賄' 大邱市 뭘했나

대구시 건설본부 7급 공무원이 서울에서 대구로 진출,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건설업체(시행사)로부터 8억원의 돈을 받아 각종 편의를 봐줬다는 경찰수사결과는 결국 공무원이 건설회사의 집사노릇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봐야한다.

이 공무원은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이 건설회사로부터 심지어 고급승용차 구입비까지 포함한 공무원 섭외비 등 각종 명목으로 3억원이 넘는 뇌물을 챙기면서 신속한 건축허가는 물론 용적률을 높여줬고 이 회사의 대구진출에 따른 어려움을 돕기위해 따로 4억3천만원을 받아 시공사 간부에게 건네준 혐의를 받고 있다.

이럴바에야 차라리 공직을 떠나 건설회사로 자리를 옮길 일이지 굳이 공직에 머물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도저히 납득이 안간다.

대구시의 공직기강이 도대체 어떻게 됐기에 7급 공무원이 8억원이란 엄청난 액수를 받을 수 있으며 그것도 모자라 건설회사와 공사업체를 떡주무르듯 할 수 있는지 참으로 어이가 없다.

또 건축허가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용적률을 높이는 일이 7급 직원 혼자서 될 일인가. 이에 대한 대구시의 대답이 어떻게 나올지 모르지만 7급 공무원 1명이 약 3개월에 걸쳐 건축행정을 좌지우지 해 왔는데도 건설본부 상급자들은 전혀 몰랐으며 도대체 자체 감시기능이 제대로 가동되고 있었는지 대구시 당국에 묻지 않을 수 없다.

경찰은 우선 상급자의 관련여부에 대한 수사에 박차를 가해야 하고 대구시도 자체감사를 통해 이런 의혹을 반드시 풀어줘야 한다.

문제는 이 공무원의 범죄는 지난해 5월 시의회에서 기술직 공무원들의 비리의혹을 제기했을 때 이뤄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때 대구시 쪽에선 터무니 없는 일이라고 펄쩍 뛰었으나 결국 사실로 드러나고 말았다.

대구시는 그에 대한 책임도 응당 져야 한다.

이에 곁들여 정부는 최근의 건축.건설비리가 전국에서 속출하고 있음에 따른 척결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