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상금·특수실종...확바뀐 선거분위기

각종 제도의 변화로 자발적 선거문화 계기 될 듯

바뀐 선거법의 영향으로 선거판에 돈을 쓸 수 없게 되면서 조직 선거가 어려워지자 선거운동원은 크게 준 반면 '50배의 신고 포상금' 등의 영향으로 부정선거 감시 인원은 급증해 '장꾼 보다 풍각쟁이가 많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바람에 예비후보 선거캠프에서는 "예비 후보와 부인이 시장 등지를 돌아다니며 인사하는 것 외에는 할 일이 없다"며 손을 놓고 있고, 선거캠프 주변 상가 등지에도 '선거 특수'가 없다며 울상이다.

26일 대구 달서갑의 한 후보 사무실에는 10여명이 한가하게 앉아 있었다.

총선을 20여일 앞둔 예비후보 사무실이라기엔 너무 썰렁했다.

묵묵히 앉아 있는 2명은 선관위에서 파견한 부정선거 감시원이었다.

한 감시원은 "우리는 내부 감시원이고 선거 캠프 주변을 돌며 부정선거를 적발하는 기동감시반원까지 합하면 대구에 모두 40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한 유력 후보는 "사무실에 1개월여 전만해도 선거운동원과 친지 등에다 선거에 조력하겠다는 사람들로 북적였지만 최근에는 간혹 찾아오는 지인들 외에는 내방객 조차 뜸한 실정"이라고 했다.

대구경찰청은 본청 24명 등 136명을 부정선거 감시 전담인력으로 배치해 부정선거를 감시하는 한편 36개 지구대도 별도로 부정선거 적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찰 한 관계자에 따르면 "금품수수와 향응 제공 등 부정선거를 적발하면 1계급 특진의 특전이 주어지자 경찰관 부인 등 가족들도 부정선거 적발에 나섰다"고 귀띔했다.

한 의원 보좌관은 "허용되는 공식 선거운동원이 동별 3명씩 21명 등 30~40여명에 불과한데 선관위 공명선거감시반원만 줄잡아 30명이다"며 "포상금을 노린 선거 파파라치까지 설치는 등 과도한 감시로 적법한 선거운동까지 방해받을 정도"라고 말했다.

선관위와 경찰의 포상과 특전 등 부정선거 적발 독려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

한 예비후보측 관계자는 "후보를 비방한 학생을 적발한 경찰이 처리 의견을 물어와 관용을 원한다고 했더니 가볍게라도 처벌하라고 말해달라고 떼를 썼다"며 "처벌이 능사가 아닌데 경찰이 너무 실적 경쟁에 열올리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각종 제도의 변화로 선거판이 얼어붙고 있는데 대해 김사열 경북대 교수는 "정치 문화 활동인 선거가 위축받지 않느냐는 우려가 없지 않으나 지금까지 선거는 문화라기 보다 부패의 사슬이었다"며 "이번 총선이 선거부정을 없애고 자발적 선거 문화가 생겨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총선취재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