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푸른 대구 가꾸기'를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옥상 녹화사업'이 예산배정을 받지 못해 계획단계에서 폐기처분될 처지에 놓였다.
옥상 녹화사업은 삭막한 콘크리트 건물 옥상에 화초, 관목을 심어 도심 속의 녹량을 늘리자는 취지로 시가 5개년계획까지 세웠던 정책. 시는 이를 위해 지난 2002년 주민 10명을 선정해 2천만원을 지원, 옥상에 흙을 깔고 시범적으로 옥상 정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당장 본격 시행 첫 해인 올해 녹지 담당 부서가 1억원의 예산을 신청했지만 "시의 부채가 많다"는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 것.
시 녹지과 관계자는 "기존 건물옥상에 나무를 심기 때문에 녹지부지를 새로 사들일 부담도 없고 도심열기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선진적인 친환경 정책"이라며 "화분이라도 나눠줘 옥상녹화를 추진하고 싶었는데 아쉽다"고 말했다.
당초 시는 2004부터 2008년까지 예산 6억원을 들여 공공기관과 일반 주택 300가구 옥상에 옥잠화와 비비추, 맥문동 등 초본류.초화류와 관목류 등을 심어 옥상정원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내년쯤 5천만원을 들여 100평에 이르는 시청옥상에 녹지를 조성하고 경북대 병원 옥상에도 50%의 예산지원을 해 녹지를 꾸미겠다는 내부 계획까지 수립했던 것.
대구시와는 반대로 서울시는 지난 2000년 처음 옥상 녹화사업을 시작한 뒤 서울시청 별관옥상에 정원을 조성하는 등 매년 6억4천만원의 예산을 편성, 건물 10곳에 옥상녹화 사업을 적극적 추진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장병관 교수는 "과거 도심 녹화정책이 '큰 나무 심기' '공원조성' 위주였다면 최근 추세는 '작은 나무심기'와 '유휴지 활용' 위주"라며 "옥상 정원은 콘크리트 건물의 복사열을 떨어뜨리고 도심옥상을 산뜻하게 바꾸고 도심으로 새와 곤충을 불러들이는 정서적 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사진:싱그러운 정원이 꾸며진 서울시청 별관 옥상(왼쪽)과 대구시청의 콘크리트 옥상이 뚜렷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