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열린우리당 거여 견제론 견제나서

지역 열린우리당이 최근 한나라당이 내세우고 있는 '거여견제론'에 대해 정면 대응을 선언했다.

'박근혜 효과'와는 달리 거여견제론은 자칫 열린우리당이 가장 우려하는 지역주의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대로 가면 열린우리당은 200석 이상이 될 것"이라며 "대구.경북에서라도 한나라당을 지켜달라"는 거여견제론은 자칫 한나라당에 대한 동정론 내지 열린우리당 독주 경계론 등으로 변질 될 수도 있다고 진단내렸기 때문이다.

대구시당의 조성근(趙晟根) 대변인은 30일 이와 관련, "박근혜 효과가 상승세를 이어나가지 못하는 것은 지역 유권자들에게도 차떼기당, 부패정당이라는 거부감에다 탄핵정국으로 인한 반발이 가시지 않은 증거"라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그러나 "거여 견제론은 사정이 다르다"며 "자칫 대구의 지역정서를 자극해 대구를 완전히 고립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막지 않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강철(李康哲) 선대위원장측에서도 "거여견제론은 한나라당의 악랄한 지역주의 선동 전략"이라며 "대구를 고립의 나락으로 빠져들게 하느냐 아니면 시대 변화에 적응하게 하느냐의 기로"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 대구시당은 박근혜 바람을 현 수준에서 차단하고 거여견제론에 대해서는 정면 반박해 나서기로 했다.

열린우리당은 '박근혜 바람'이 박 대표의 개인적 능력이나 정치적 역량 그리고 지역 공헌도 등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가 주요 근원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박 대표가 대선 후보가 아니고 한 달짜리 대표에 그칠 것이라는 점 그리고 지역 기여도 또한 매우 낮다는 등 '박근혜 거품론'을 부각시킨다면 돌풍이 아니라 미풍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거여견제론은 사정이 다르다는 것이 열린우리당의 고민이다.

열린우리당은 이를 발본색원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대구.경북의 정치.경제적 '고립화'론이 주된 논리다.

대구.경북만 변화하지 않고서는 낙후가 아니라 고립을 자초하는 것이며 정치적으로도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왕따'의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은 이를 근거로 "지금 이대로의 대구.경북이 좋습니까. 변화를 원한다면 열린우리당을 선택해달라"고 호소할 계획이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