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여년째 계속돼 온 지역경제 회생에 대한 지역민의 욕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한 가운데 17대 총선거의 공식적인 막이 올랐다.
이번 총선은 국가적으로도 전진이냐 후퇴냐를 가름하는 선거의 의미를 갖고 있지만 특히 80년대 이후 줄곧 곤두박질치고 바닥을 헤매온 지역의 경제 현실을 탈피할 수 있느냐 여부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차대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소비에서 생산의 도시로'를 내세운 한나라당이나 '함께 잘사는 대구경북 건설'을 기치로 내건 열린 우리당이나 '대구 경북 경제살리기'를 17대 총선의 주요 화두로 삼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역 발전을 위해 정책으로 확정했거나 이미 여러번 터져나온 내용을 재탕하거나 현실성이 떨어지는 공약이 남발되고 있다는 지적은 이번 선거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나라당은 대구테크노폴리스 건설 등 과학기술도시 조성, 과학기술 정보통신 분야 9개 정부공공기관 지역이전, 한방산업단지 조성, 대기업 및 해외기업 유치, 방재산업단지 조성, 포항 영일만 신항 조기건설, 포항~울진간 국도 4차로 확장 등을 내세우고 있다.
열린 우리당은 대구시청 이전과 동대구 역세권 개발, 울진공항 조기 완공, 경북도내 권역별 전자동 성장동력 육성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구 동구 신천동 고속버스터미널자리에 40층 짜리 쌍둥이 빌딩을 지어 그 중 하나를 대구시 신청사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민들은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경제문제 해결방안, 지역에서 밀고나갈 경제정책에 대한 욕구가 훨씬 강하다.
공장이 들어설 국가공단 하나 없고, 산업용지 개발은 제때 추진되지 않고 있으며, 경제력이 점차 줄어들어 젊은이들이 신명나게 일할 업종과 기업이 없어 지역민들은 영원히 추락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상룡 경북대 산학협력단장은 "올해가 '지방분권'과 '지역경제살리기'를 국정목표로 내세운 현정부의 각종 정책이 집행되는 중요한 시기"라며 "지역에서 제안된 사업과 정책에 대해 중앙정부에 타당성을 홍보하고, 정부 예산확보까지 연결시키는데 힘과 노력을 기울일 인사를 국회의원으로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병용 대구은행 금융경제연구소장은 지방 발전과 관련,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임베디드SW, 패션어패럴밸리, 한방밸리 조성 등은 이미 지방발전계획으로 확정해 놓고 있는 만큼 유권자들이 이에 대해 각 후보나 정당들이 협조적인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창득 대구경총 상임부회장은 "대구경제지표가 전국 최하위권이라는 것은 지역 국회의원이 제대로 뛰지 않았다는 반증"이라며 "지역 산업비중의 99.7%를 중소기업인 만큼 국회의원은 반드시 중소기업을 잘 알고 있는 사람, 중소기업을 위한 경영마인드를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
임경호 대구상공회의소 조사부장은 "경제 회생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올해부터 본격화될 공공기관 지방이전에서 대구.경북이 '큰 과실'을 딸 능력과 애정을 가진 국회의원, 이런데 관심을 가진 정당이 힘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지역 산업구조 고도화를 구현하고 해외자본 또는 국내 대기업을 유치할 정당, 국회의원이 필요하다"는 임 부장은 대구의 산업용지난을 해결하고, 우수한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경제통 의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