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등의 지역 공약 역시 기존의 경북도와 포항, 구미시 등에서 계획 중이거나 시행중인 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들 정당의 경우 지역에서의 위치와 한계 때문에 독창적인 지역개발 공약을 내세우기에는 무리가 많았지만 나름대로 특화 전략을 내세우며 다른 정당과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역특화단지 조성산업이, 자민련은 농어업 환경개선안이 눈에 띄고 민노당은 농가부채 해결방안 및 핵 발전소 단계적 폐쇄방안이 이채롭다.
▲민주당
2005년 울진세계친환경농업 EXPO와 경주역사문화유적지구 조성 등을 비롯한 5대 공약을 발표했다.
우선 경북지역은 농업으로만은 발전할 수 없다고 보고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테크노 경북 플랜을 제시했다.
이 사업에는 △안동.포항.경주 바이오테크노파크 설립 △경산 정보통신진흥기구 △칠곡 하이테크빌리지 △성주 원예바이오기술센터 △구미 전자정보연구단지 △상주 농업테크노파크 △영주 정보연구단지 △문경 영상산업단지 등 지역 특화단지 조성사업 등이 대거 포함됐다.
포항공과대학 내 지능형 로봇 개발센터를 설립해 세계적인 연구센터로 키우자는 주장은 이채롭다.
포항 영일만 신항 건설 및 구미 외국인 임대단지 확대 등도 공약에 포함됐다.
▲자민련
경북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기간산업 투자 확대 방안 및 여러 가지 경제 부양책을 제시했다.
주변 여건의 개선을 위해 칠곡-안심-파동-월배-성서를 잇는 순환도로 조기 건설을 제시했다.
21세기 새로운 농어업 환경개선안도 눈에 띈다.
개선안에는 △친환경 농업 종합발전 10개년 계획 확대 추진 △농수산물 수출전문단지를 2005년까지 60개소로 확충 △농산물 도매시장(포항, 안동, 구미), 종합유통센터(군위)를 연계한 산지 유통, 가공 시설 확충, 유통연계망 구축 등이 포함됐다.
'전자경북'이라는 테마로 색다른 지역경제 개선안도 발표했다.
요지는 구미지역에 '디지털 테크노폴리스' '포항 테크노파크' 조성, 신소재 산업진흥을 위한 금속재료혁신센터의 포항공대 설치다.
▲민주노동당
농업, 재난예방, 환경 등 3개 분야로 나눠 세부공약을 제시했다.
농업분야로는 △농가부채 해결 △농어촌 고령화 현상 대책 △농어촌 교육문제 해결 등이다.
농가부채 해결을 위해 자금과 상호금융이자를 1%로 낮추고 농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의 대폭적인 확충을 통한 농가부채 특별법 개정이 주목된다.
한발 더 나아가 농업은 국가 기간 산업이므로 공적자금을 조성해 농가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도록 농산물유통구조 안정과 직불제를 확대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재난 예방 및 대응 방안의 일환으로 정부가 보험료를 100% 부담하는 '농작업 재해 보험제도' 도입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환경 부문으로는 핵발전소 추가건설 중단 및 단계적 폐쇄를 주장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