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 3대 이슈-한나라 "거대여당 막자"

'200석 넘으면 전횡...'싹쓸이'는 민심일뿐'

◆거여견제론=한나라당의 총선 핵심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영남권에서 시작된 한나라당의 거여견제론은 최근 수도권으로까지 북상중이다.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영남과 수도권을 오가며 "거대여당은 일당독재"라는 논리를 펴는 것도 열린우리당의 수도권 기세를 꺽지 못할 경우 총선 승리는 없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됐다. 한나라당 대구시당 관계자는 우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안 의결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유권자들의 표심이 열린우리당쪽으로 쏠리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각 언론사와 여론조사 기관에서 선거운동 시작전까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열린우리당이 국회 과반수를 넘어 200석을 넘어설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대여당 탄생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에서 노무현 정권에 대한 견제심리가 발동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측은 "노무현 정권 1년동안 거대야당이 정치의 발목을 잡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나 사실은 많은 부분 정부와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면서 "노 정권의 문제는 거대야당의 비협조 때문이 아니라 경험부족과 자기주장으로 일관하는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자신들에서 비롯된 문제였다"고 말했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여당이 200석이 넘는 거대여당이 될 경우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정부의 무소불위의 전횡은 불을 보듯 뻔하며 입법, 행정을 모두를 장악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이 무너지는 정치적 후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싹쓸이론에 대한 반박=최근 '박근혜 효과'가 불을 지핀 곳에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의 노인폄하 발언이 기름을 끼얹으면서 대구와 경북에 한나라당 싹쓸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열린우리당과 무소속 등 한나라당 상대후보들은 이같은 싹쓸이론을 거론하면서 "더이상 싹쓸이는 안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한나라당측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한나라당 대구시당은 "대구에서 12석 모두를 한나라당이 석권하면 된다, 안된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선거를 보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시당의 핵심관계자는 "누가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 대한민국의 발전, 자기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인물인지, 정책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 어떤당을 선호하는지 등 선거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유권자의 몫이고 유권자가 선택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측은 "특정당이 대구.경북의 전지역구를 석권하는 것도 그 결과로 특정당이 전지역구를 석권하는 것은 대구시민의 표심이고 민심일 뿐인데 시민들의 선택을 왈가왈부 할 거냐"고 비난했다.

◆정권 창구론에 대한 반박=열린우리당 이강철(李康哲) 후보를 지칭해 열린우리당과 일부 식자층에서 펴고 있는 논리가 소위 '정권창구론' 이다. 이에대해 한나라당측은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발끈했다. 한나라당측은 "열린우리당이 주장하는 열린정치, 깨끗한 정치, 21세기형 선진정치에서 정권의 창구역할을 하는 실세가 필요한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 상대인 한나라당 주성영(朱晟英) 후보측도 "이 후보가 대통령의 최측근이란 점 때문에 실세라고 부른다면 이의를 달 필요가 없다"면서도 "그렇지만 지역발전을 위해 정권실세가 당선돼야 한다는 것은 정부 정책결정과정의 시스템을 무시한 논리"라고 주장했다. 즉 한사람의 실세가 창구노릇을 한다고 지역경제, 정치문화가 하루아침에 발전한다는 생각은 구시대 정치 즉 계보정치적 발상이라는 것이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