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엄마입니다.
연습장을 몇 장씩 채워야 하는 '빡빡이 숙제' 때문에 아이가 힘들어합니다.
이런 방식이 정말 생산적인 학습을 위해 도움이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서점에 나가보면 효율적인 학습 방법에 관한 책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런데 내용을 살펴보면 저자마다 제시하는 방법이 다 다릅니다.
어떤 경우든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 학습법이 있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빡빡이 숙제도 이런 관점에서 그 효율성과 생산성을 생각해야 합니다.
수학이나 물리는 애써 적어가며 암기하지 않아도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면 공부한 내용을 비교적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어 단어나 기타 단편적인 정보는 여러 차례 반복해서 암기해야 기억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기의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학습 내용을 연습장에 여러 번 적어 봅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그냥 반복해서 읽거나 한두 번 가볍게 적어보는 방식을 택합니다.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인지는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빡빡이 숙제의 고통을 호소하며 바람직한 해결책을 묻는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도 상담자가 이 문제를 선뜻 다루지 않은 이유는 자칫하면 학교 선생님의 지도 방침을 학생들이 거부하는 명분과 논거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학생의 질문을 핑계 삼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 모두가 이 문제를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 보자고 제의합니다.
연습장에 적어가며 공부하는 것이 사람에 따라서는 탁월한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방식이 모두에게 같은 효능을 발휘하는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습니다.
불만을 토로하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있어서 문제의 핵심은 다른데 있다는 사실도 알아야 합니다.
빡빡이 숙제를 거부하는 심리 근저에는 아는 내용인데도 몇 장씩 강제로 적어내야 하는데 대한 짜증과 다른 과목을 고려하지 않은 어떤 특정 과목 선생님의 무리한 요구에 대한 불만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님은 선생님의 지도 방침과 교육적 열의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선생님은 학생의 개인차와 다른 과목에 대한 배려를 염두에 둔다면 바람직한 해법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ihnyoon@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