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공공기관 지역유치 설전

각당의 후보들이 4.15 총선 공약으로 가장 많이 내세우는 것이 공공기관 유치이다.

주로 이전될 대상지인 대구.경북, 부산.경남, 전북, 광주.전남, 강원, 제주지역에 나선 후보들이 대거 내걸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장 총선이 끝나면 공공기관 유치를 두고 각 지역이 치열한 유치전을 벌일 것은 불보듯 뻔하다.

청와대 부속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성경륭)가 각 지역별 이전 대상기관에 대한 선정 작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전 대상 기관은 모두 245개. 이 가운데 1차적으로 100여개를 우선 이전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다.

대상기관 수와 이전 대상지에서 제외된 충청권 이외 지역의 수를 감안하면 대구와 경북에 대충 10개 이상은 이전되는 것이 순리로 여겨진다.

문제는 어느 기관이 오느냐이다.

각 지자체가 탐을 내고 있는 공공기관의 1순위는 한국전력이다.

한해 매출액이 서울시의 예산보다 8조원이 많은 26조에 이르고 순이익만도 3조원을 웃도는 알짜기업이기 때문이다.

도로공사, 주택공사, 토지공사 등 기업도 각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꼽고 있는 유치 대상 공공기관이다.

4.15 총선전에서 공공기관 유치를 선공한 것은 열린우리당이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대구 동구갑에 출마한 이강철 후보와 참여정부 각료를 지낸 권기홍(경산.청도), 윤덕홍(수성을), 이영탁(영주), 추병직(구미을) 후보가 공약화를 주도하고 있다.

청와대 행정관을 지낸 북구을의 배기찬 후보도 가세했다.

동구갑 이 후보는 한국전력 유치를 공약했다.

동대구역세권 개발로 건설될 복합쌍둥이 빌딩의 1개동에 한전 사옥을 입주시킨다는 복안으로 관계부처와 기초적 협의를 마쳤다고 한다.

대구에 한전이 유치될 경우 지역 일자리 창출, 지방세 수입 등 엄청난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또 동구을 김 후보는 경마장, 북구을 배기찬 후보는 한국도로공사 본사 유치를 내걸었다.

청와대에서 특히 공공기관 지방분산 작업의 청와대 간사를 맡은 배 후보가 한국도로공사의 유치를 내걸어 눈길을 끌고 있다.

예산이 대구시 예산의 2배인 공사로 각 시도가 탐내고 있으나 '유치 가능성'이 낮지않다고 판단하는 듯하다.

노동부장관을 지낸 경산.청도 권 후보는 새마을운동중앙회와 새마을연수원, 한국토지공사 유치를 공약했다.

한나라당도 공공기관유치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최다 공약자는 경산.청도 최경환 후보로 에너지경제연구원, 산업연구원, 산업기술평가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토지공사 등 무려 6개의 기관의 유치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외 경주 정종복 후보는 문화재청을, 안동 권오을 후보는 수자원공사와 산림청을, 군위.의성의 김재원 후보는 농촌진흥원을 유치하겠다고 했다.

공공기관 유치에 대해 각 당의 설전도 뜨겁다.

열린우리당은 "야당 의원 개개인이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기관을 어떻게 유치하느냐"며 "지자체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돼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유치전에서 유리한 입장에 선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에 대해 "공공기관을 분산해도 지역간 균형을 맞출 수 밖에 없고 국회의 동의를 구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야당의 역할도 크다"고 맞서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