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주의 근절은 요원한가"

지역주의 논란 재연

선거 막바지 최대 쟁점으로 부상한 싹쓸이 방지론과 거여견제론의 충돌로 대구.경북에서 또다시 지역주의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한나라당이 이번 총선결과를 열린우리당 200석의 압승으로 예견하면서 '대구.경북이 힘을 모아 거대여당을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이 '지역정서에 호소해 대구.경북의 결집을 선동하고 있다'고 맞받아 치고 있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지난 주말부터 지속적으로 지역내 한나라당 독식 현상의 폐단을 지적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일색이 될 경우 지역경제가 회생불가능할 것이라는 주장도 전개하면서 지역감정 경계론을 펼쳤다.

후보부인들의 싹쓸이 반대 3보1배 행사, 수성갑.을 김태일(金台鎰) 윤덕홍(尹德弘) 후보의 단식호소 등 우리당 후보들의 행보는 지역주의 근절과 무관치 않다.

중앙당에서 조차 김부겸, 송영길, 임종석 등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역주의 부활을 막아달라며 국회 본관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김부겸(金富謙) 의원은 "대구로 지원유세를 갔더니 한 유권자가 '노무현당인줄 알았더니 위장한 김대중당'이라고 해 반나절 동안 울다시피 유세했다"며 "한나라당 젊은 후보들이 유세에서 지역감정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대구시당은 "전국적인 상황을 보면 열린우리당의 싹쓸이가 더 큰 문제"라며 "열린우리당 지역 후보들의 싹쓸이 반대 운동은 엄살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은 "단식농성으로 유권자를 협박해 표를 내놓으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오히려 호남에서 한나라당 후보뿐 아니라 정당투표도 해주지 말자는 기류가 있다"고 반론을 폈다.

한나라당은 이와 함께 "3김 시절의 지역주의와 다른 '노선구도'가 확립된 때 지역감정이란 있을 수 없다"며 "한나라당과 우리당의 성향이 보수와 진보로 구별되는 상황에서 영남권의 한나라당 지지는 '지역주의 부활'이 아닌 '보수세력의 결집'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