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1일 내달 중순쯤 탄핵국면이 해소되는대로 열린우리당에 입당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입당하면 주요 당원이지만 당권이 있는 당직은 맡지 않을 것이며 명예직으로 남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정동영(鄭東泳) 의장 등 열린우리당 지도부 20명을 청와대로 초청, 만찬을 함께하며 이번 4.15 총선 과정에서의 노고를 격려하는 가운데 "공천이나 임명직 등 모든 인사에 관여하지 않겠다"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윤태영(尹太瀛) 대변인이 전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앞으로 경제살리기와 민생안정을 위한 당정협의를 적극 뒷받침하겠다"면서 "박봉흠(朴奉欽) 청와대 정책실장이 정책을 주도하고, 당과 청와대 사이의 정치적 채널은 문희상(文喜相) 고문을 통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밝혀 문 고문의 역할이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문 고문의 당정간 가교역 주문과 관련, 그 시한을 분명하게 밝히지는 않았지만 우리당이 이번 총선을 통해 국회 과반의석을 넘긴 '거여(巨與)'가 된 상황임을 감안할 때 문 고문의 역할과 비중이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노 대통령은 열린우리당이 원내 과반 의석을 차지한 4.15총선 결과에 대해 "자부심을 가져야겠지만 교만해서도 안된다"면서 "과반이라는 것은 협상을 위한 유리한 조건이지 이를 내세워선 안되며 모든 것을 협상과 타협을 통해 풀어나가자"고 당부했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앞으로 통합과 상생의 정치를 적극 펼쳐나가고, 특히 한나라당 등 대야 관계에 있어서도 협상과 대화를 제1의 원칙으로 삼을 것임을 분명히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특히 "아차 방심하면 금방 뒤집어질 수 있는 것이 정치이고 우리의 처지이기도 하다"면서 "조심스럽게 해나가되 도전할 때 과감하게 도전해 나가는 용기를 함께 가져 국민들에게 신임을 받아 '이제 됐다'고 안심할 수 있는 정치를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역주의 문제와 관련, 노 대통령은 "영남에서 우리당이 의석을 많이 확보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면서 "그러나 정당 지지도를 보면 전국정당의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노 대통령은 우리당 당선자 워크숍에 참석해 달라는 당측 요청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청와대측은 "내주초에 열리는 1차 워크숍에는 참석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해 탄핵국면 해소와 입당 등 상황변화에 따라서는 2,3차 워크숍에 참석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노 대통령은 또 "국정운영과 관련해 큰 방향과 원칙을 제시하는 문제에 있어선 공식, 비공식적으로 당과 대화를 하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번 4.15 총선결과를 평가하면서 "상위의 가치와 대의를 위해 내린 결단의 결과이며 지난 1월 전당대회가 축제분위기를 연출, 출발부터 달랐기 때문"이라며 "게다가 이부영(李富榮) 의원 등 한나라당에서 입당한 다섯의원의 결단이 보태져 오늘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 거론중인 대통령 탄핵 철회 논란, 재신임 , 개각 문제 등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정 의장은 인사말에서 "희망의 정치를 할 수 있는 힘을 국민들이 주셨고, 국민 여러분께 감사올린다"면서 "선대위 간부들을 위해 좋은 자리를 베풀어 준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